문장

연구분야 : A1102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클래스 : 신문/잡지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1448

STNet ID : 1002999

한자 : 文章
기타 : Munjang

y02-03 신문/잡지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d01-03 분과학문 분과학문

문학 () [ 文學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4-03 교재·자료 교재/재료

문예지 [ 文藝誌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월간지 () [ 月刊誌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태준 () [ 李泰俊 ]

RT (관련어)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a01-04 인간(사회집단) / Y06 기관/단체명 기관/단체명

문장파 () [ 文章派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순수 문학 [ 純粹文學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정지용 (1902-1950) [ 鄭芝溶 ]

공과대학 프로젝트형 글쓰기 상담 연구 -제안서와 결과보고서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Counselling about Technological Writing in a Engineering Project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다문화가정 학습자를 위한 국어교육 방안-초등학교 저학년의 표현교육을 중심으로-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 for the child of the multicultural family : Around the expression education of the lower grades of primary school

다문화콘텐츠연구 | 11 | 2011 | 기타사회과학일반

불전에 나타난 문학적 비유

Literary avadāna which is expressed in Buddhist classics

동아시아불교문화 | 9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先德과 祖訓의 기억-안동 김문의 家史 계승을 중심으로-

Having a Distinct Memory of Ancestral Virtue and Family motto with Andong Kim's Family as Its Center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滄江 金澤榮의 중국망명과 출판사업 의식

Changkang Kim, Taek-young's asylum to China and his mind for publishing business

한국사상사학 | 40 | 2012 | 역사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선택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articles of Korean Learners

한국어교육 | 21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孔子의 自然觀

The View of Nature in Confucius philosophy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孔子의 自然觀

The View of Nature in Confucius philosophy

범한철학 | 56 | 1 | 2010 | 철학

조선시대 詩人과 詩精神 - 15,16세기 영남 사림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ry and spiritual sphere of Chosen Dynasty's poets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詩人과 詩精神 - 15,16세기 영남 사림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ry and spiritual sphere of Chosen Dynasty's poets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태준과 김용준에 나타난 문학과 회화의 상호작용

Lee Tae-jun and Kim Yong-jun :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art

비교문학 | 56 | 2012 | 인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Survey on Grammar-Content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겨레어문학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1』에 대한 문법 내용적 검토

Survey on Grammar-Contents of Korean Grammar for ForeignersⅠ

겨레어문학 | | 45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용악 시 연구 -반복 기법과 화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A Study about the variations repetition represented in Yi Yong-ak's poetry

Journal of korean Culture | 21 | 2012 | 현대시(국문학)

漢文科 ‘문장’ 영역의 평가 방향과 실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The direction and practice for evaluation of ‘sentences’ section in chinese character curriculum -Focusing on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漢字漢文敎育 | 1 | 27 | 2011 | 한문교육

李崇仁의 삶과 足跡에 대한 평가

An Evaluation on the Life and Mark of Lee, Sung-in(李崇仁)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Dongailbo and Shijo Canon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L'Etude sur le sujet “comment traduire”

프랑스 문화 연구 | 20 | 2010 | 프랑스문화학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

L'Etude sur le sujet “comment traduire”

프랑스 문화 연구 | | 20 | 2010 | 프랑스문화학

河西 金麟厚의 行蹟과 후세의 평가

Kim Inhoo's personal history and his posterity's appraisal

동양문화연구 | 7 | 2011 | 기타인문학

1930년대 후반의 전환기문학과 친일파시즘

The literature in transition, the late 1930s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The Eastern, The Choseon, and Munjang(文章)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The Eastern, The Choseon, and Munjang(文章)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호우 시조의 변모와 매체

The Transfiguration of Lee Ho-woo's Sijo and Media

시조학논총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후반의 전환기문학과 친일파시즘

The literature in transition, the late 1930s and Pro-japanese fascism

우리말글 | 52 | 2011 | 한국어와문학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The Eastern, The Choseon, and Munjang(文章)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양적인 것, 조선적인 것, 그리고 『문장』

The Eastern, The Choseon, and Munjang(文章)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아일보』와 시조 정전

Dongailbo and Shijo Canon

한국시학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개정 교육과정 ‘한문지식’의 내용 분석 - 중학교 『한문1』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for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instances of the middle school 『Sino-Korean1』-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개정 교육과정 ‘한문지식’의 내용 분석 - 중학교 『한문1』의 적용 사례와 관련하여 -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for 'Sino-Korean Knowledge' in the Revised Curriculum -In connection with the application instances of the middle school 『Sino-Korean1』-

漢字漢文敎育 | 1 | 24 | 2010 | 한문교육

正祖의 古文 指向과 御定 《唐宋八子百選》

A Study on the King Jeong Jo's Viewpoint on Classical Prose and 《One Hundred Proses Written by Eight Great Writers (八子百選)》

중국문학 | 67 | 2011 | 중국어와문학

문장을 이용한 P300-기반 유죄지식검사

P300-Based GKT(Guilty Knowledge Test) Using Sentenc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4 | 4 | 2010 | 심리과학

문장을 이용한 P300-기반 유죄지식검사

P300-Based GKT(Guilty Knowledge Test) Using Sentenc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성격 | 24 | 4 | 2010 | 심리과학

㵢溪 兪好仁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The spiritual sphere in Noegye Yuhoin'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㵢溪 兪好仁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The spiritual sphere in Noegye Yuhoin'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㵢溪 兪好仁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The spiritual sphere in Noegye Yuhoin'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㵢溪 兪好仁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The spiritual sphere in Noegye Yuhoin'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 53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 교재의 표기․표현 내용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notation and the expression in the writing texts

한말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글쓰기 교재의 표기․표현 내용 구성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notation and the expression in the writing texts

한말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학술적 에세이에 나타난 대학생의 문장 구성 양상 연구

A Study on Aspects of College Students’ Sentence Structures in Academic Essay

교양교육연구 | 6 | 3 | 2012 | 학제간연구

한문에서의 문장의 경계

Sentence Boundaries in Classical Chinese

漢文敎育硏究 | 38 | 2012 | 한국어와문학

가람, 시조, 문장

Garam, Sijo, Munjang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글말과 입말 수행에 대한 사례 연구 -‘쉼’과 ‘문장’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Performance of Written and Spoken Language -focused on the ‘sentence’ and ‘pause’-

국어교육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가람, 시조, 문장

Garam, Sijo, Munjang

비평문학 | 45 | 2012 | 한국어와문학

?桂苑筆耕集?의 문화사적 이해

Understanding Gyewonpilgyeongjip(?桂苑筆耕集?) from a Cultural Historical Perspective

진단학보 | 112 | 2011 | 역사학

‘文學’에서 ‘文章’으로 ― 周作人의 문학 인식에 대한 일고찰

From ‘Literatuer’ to ‘WenZhang’-Zhou Zuoren’s Literary Concept

중어중문학 | 48 | 2011 | 중국어와문학

日本語学習者の日本語の文章の分かりにくさの新たな定義

New definition of Japanese sentences of Japanese Learners that considered reader's cognition.

일어일문학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日本語学習者の日本語の文章の分かりにくさの新たな定義

New definition of Japanese sentences of Japanese Learners that considered reader's cognition.

일어일문학 | | 47 | 2010 | 일본어와문학

문학 커뮤니티의 집합적 창작(collective creation) 과정에 대한 생태계적 모형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문장(Munjang)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llective creation process of literary community ecosystem: Focussing on Munjang online community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9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중세 문장과 현대 심벌마크의 비교

Comparison Research of Medieval Heraldry and Today Symbol Mark

기초조형학연구 | 13 | 1 | 2012 | 예술일반

문학 커뮤니티의 집합적 창작(collective creation) 과정에 대한 생태계적 모형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문장(Munjang)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llective creation process of literary community ecosystem: Focussing on Munjang online community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 29 | 3 | 2012 | 사회과학일반

문체 중심 소설 읽기교육의 방향 :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A Style-centered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 Centering on “Mujin Travel”

독서연구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체 중심 소설 읽기교육의 방향 : 「무진기행」을 중심으로

A Style-centered Direction of Novel Education : Centering on “Mujin Travel”

독서연구 | | 24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주동의「近古東西奇文選」을 통해 본『문장』의 미의식

Aesthetic Consciousness of Munjang Seen through「近古東西奇文選」by Yang Joo-dong

어문론집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양주동의「近古東西奇文選」을 통해 본『문장』의 미의식

Aesthetic Consciousness of Munjang Seen through「近古東西奇文選」by Yang Joo-dong

어문론집 | 43 |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의 시국 협력 문학과 「전선문학선」

Collaborative Literature and Writing on the Front (Jonsonmunhakseon) in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의 시국 협력 문학과 「전선문학선」

Collaborative Literature and Writing on the Front (Jonsonmunhakseon) in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 문학에서 문화로 -『문장』지 소재 수필의 양상-

『Munjang』; From Literature to Culture -The Aspect of Essays in Magazine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文章』의 해외문학 연구

A Study on Foreign Literary Theory in Munjang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文章』의 해외문학 연구

A Study on Foreign Literary Theory in Munjang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문장 구조의 다양성과 복잡성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ntence structure

시학과 언어학 | 19 | 2010 | 기타인문학

문장 구조의 다양성과 복잡성

Diversity and complexity of sentence structure

시학과 언어학 | | 19 | 2010 | 기타인문학

조지훈의 등단 추천작과 그 시적 전개

Jo Ji Hwoon's Poems Recommended as Starting His Literary Career and Their Poetic Development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지훈의 등단 추천작과 그 시적 전개

Jo Ji Hwoon's Poems Recommended as Starting His Literary Career and Their Poetic Development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의 시국 협력 문학과 「전선문학선」

Collaborative Literature and Writing on the Front (Jonsonmunhakseon) in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의 시국 협력 문학과 「전선문학선」

Collaborative Literature and Writing on the Front (Jonsonmunhakseon) in Munjang

한국근대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에 나타난 노인 인물 등장소설 연구

A Study on Novel appeared the elderly character of Munjang

어문론집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에 나타난 노인 인물 등장소설 연구

A Study on Novel appeared the elderly character of Munjang

어문론집 | 43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