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용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3539

STNet ID : 1001592

한자 : 鄭芝溶
일본어 : 大弓修
음차어 : Jeong Ji-yong
음차어 : Jung Ji-yong

y01-01 실존인물

시대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출생지

옥천 (沃川)

저작

바다

향수 (鄕愁)

직업

시인 (詩人)

생몰년_t

1902 - 1950

성별2

남자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아명

 

지용 [ 池龍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시문학파 [ 詩文學派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문학가동맹 [ 朝鮮文學家同盟 ]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구인회 [ 九人會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종한 [ 金鍾漢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정지용시집 () [ 鄭芝溶詩集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정지용론 [ 鄭芝溶論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순수시 [ 純粹詩 ]

RT (관련어)

기고자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시문학 (1930-1931) [ 詩文學 ]

RT (관련어)

 

y02-03 신문/잡지명 신문/잡지명

문장 (잡지) [ 文章 ]

RT (관련어)

 

a01-04 인간(사회집단) 인간(사회집단)
a01-04 인간(사회집단) / Y06 기관/단체명 기관/단체명

문장파 () [ 文章派 ]

RT_Y (◄관련어)

관련 인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종교시 [ 宗敎詩 ]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북한문학에서 프로시의 위상과 가치

Prestige and Value of Proletariat-poetry in North Korean Literature

한국근대문학연구 | | 21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 연구 - 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f Kim, Ki-rim's Poetics ― Focused on the Theory of the Organicism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김기림 시론 연구 - 유기체적 세계관을 중심으로

A Study of Kim, Ki-rim's Poetics ― Focused on the Theory of the Organicism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시와 주체문학 -19세기 말~1926년의 경우

Modern Literature and Juche-Munhak-From the late 19th to 1926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한용(高漢容)과 일본시인들 - 교우관계를 통해서 본 한국의 다다

高漢容と日本の詩人たち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한용(高漢容)과 일본시인들 - 교우관계를 통해서 본 한국의 다다

高漢容と日本の詩人たち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시가의 운율 자질에 관한 시론적 연구

Study of distinctive property of Korean poetry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The Essence and Basic Manners of ‘Traditional Lyrical Poems’ in Korean Modern Poetry

석당논총 | 53 | 2012 | 기타인문학

소위 ‘전통 서정시’의 정체와 기반 양식

The Essence and Basic Manners of ‘Traditional Lyrical Poems’ in Korean Modern Poetry

석당논총 | 53 | 2012 | 기타인문학

조지훈의 등단 추천작과 그 시적 전개

Jo Ji Hwoon's Poems Recommended as Starting His Literary Career and Their Poetic Development

한국시학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지훈의 등단 추천작과 그 시적 전개

Jo Ji Hwoon's Poems Recommended as Starting His Literary Career and Their Poetic Development

한국시학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어 교과 문학영역 내 비평교육에 관한 연구 : 2009 개정 교육과정 고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으로

A Study of Criticism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Curriculum's Literature Area - Centered on 2009 Revised High School Curriculum's Korean Language Textbooks

인문학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정지용과 ‘구인회’ -『시와 소설』의 의의와 「유선애상」의 재해석

Jung, Jiyong and ‘Guinhoe’ -The meaning of the ‘Si wa Soseol’ & the reinterpretation of the ‘Yooseonaesang’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구인회’ -『시와 소설』의 의의와 「유선애상」의 재해석

Jung, Jiyong and ‘Guinhoe’ -The meaning of the ‘Si wa Soseol’ & the reinterpretation of the ‘Yooseonaesang’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W. B. Yeats, Nature, and Modern Korean Poetry: Jeong Ji-yong and Some Later Poets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현해탄의 청춘공화국-「정지용시집」(1935)을 중심으로

A Republic of Youth Soaring over the Strait Hyunhaetan-Focused on the Jeong Jee-Yong’S Collection of Poems

민족문학사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현해탄의 청춘공화국-「정지용시집」(1935)을 중심으로

A Republic of Youth Soaring over the Strait Hyunhaetan-Focused on the Jeong Jee-Yong’S Collection of Poems

민족문학사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근대시에 나타난 일본 체험 양상

Aspects of Japan Experience in Modern Korean Poetry

한국시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W. B. 예이츠와 한국근대시의 자연: 정지용과 현대 시인들의 시

W. B. Yeats, Nature, and Modern Korean Poetry: Jeong Ji-yong and Some Later Poets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조이스 킬머의 「나무」와 한국 현대시

Joyce Kilmer’s “Trees” and Korean Modern Poetry

서강인문논총 | 34 | 2012 | 기타인문학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과 정지용

Meaning of Simunhakpa in the Literary History and Jeong, Ji-yong ―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ark, Yong-cheol and Kim, Young-rang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시각 체계의 다원성 - 새로운 ‘풍경’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The Plurality of Vision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 An Essay on the Concept of a New "Landscap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과 정지용

Meaning of Simunhakpa in the Literary History and Jeong, Ji-yong ―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ark, Yong-cheol and Kim, Young-rang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에 나타난 시각 체계의 다원성 - 새로운 ‘풍경’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試論)

The Plurality of Vision in Korean Modernist Literature of the 1930s - An Essay on the Concept of a New "Landscape"

상허학보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장> 게재 시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Published in Munjang ― Focusing on the aspects of mixing the ‘old’ and the ‘new’

비평문학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장> 게재 시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Published in Munjang ― Focusing on the aspects of mixing the ‘old’ and the ‘new’

비평문학 | | 36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의 문학과 담배

Tobacco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20-30년대의 문학과 담배

Tobacco and korean literature in the 1920s~30s

한국현대문학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산수시에서 자연과 정신의 감각적 매개 양상 -'차다'라는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Sensual intermediation between Nature and Spirit in Jeong Jiyoung's 'Mountain-Water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산수시에서 자연과 정신의 감각적 매개 양상 -'차다'라는 신체 감각을 중심으로

Sensual intermediation between Nature and Spirit in Jeong Jiyoung's 'Mountain-Water poetry'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4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에 있어서 근대 도시의 표상성 -‘지도’와 ‘유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Modernurbanism in the poetry of Jung, Ji-yong and Kim, Su-young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map and glas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기림의 문학적 상관성

Poetic Correlation between Jeong, Ji-Yong & Kim, Gi-rim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향수와 기호학적 글읽기 - 확장성과 곱씹음의 미학 -

The Aesthetics of Poetic Reflection and Expansion - Reading Jeong Ji Yong's “Fragrance” through Isotope Analysis -

기호학 연구 | 27 | 2010 | 언어학

정지용의 향수와 기호학적 글읽기 - 확장성과 곱씹음의 미학 -

The Aesthetics of Poetic Reflection and Expansion - Reading Jeong Ji Yong's “Fragrance” through Isotope Analysis -

기호학 연구 | 27 | | 2010 | 언어학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A Cognitive Poetic Study on Jeong Ji - yong's 「Jangsusan Ⅰ」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A Cognitive Poetic Study on Jeong Ji - yong's 「Jangsusan Ⅰ」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한시 수용 연구 - ‘용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its of Hansi in Jung Ji-yong's Poetry with a focus on his use of '용사'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한시 수용 연구 - ‘용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its of Hansi in Jung Ji-yong's Poetry with a focus on his use of '용사'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산수시 연구

A Study of Jung, Ji-Yong's Landscape Poetry with A Focus on His Treatment of Time-Space

돈암어문학 | 23 | 2010 | 국문학사

정지용 산수시 연구

A Study of Jung, Ji-Yong's Landscape Poetry with A Focus on His Treatment of Time-Space

돈암어문학 | 23 | | 2010 | 국문학사

감각적인 시어의 사용과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 - 정지용 시 「瀑布」를 중심으로 -

Sensuous use of Poetic Words and Free Movement of Eyes - Focusing on Jeong Ji-yong's Poem 'Pokpo'(Waterfall)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eong Ji-yong's Poem, 「Sea 2」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eong Ji-yong's Poem, 「Sea 2」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피로와 미적 초월의 욕망 - 1930년대 중반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Modern fatigue and desire of aesthetic transcendence -with poems of Jeong, Ji-yong in the middle 1930s as its center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와 이상 시의 對位的 텍스트성 - 불연속적 시간 특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unterpoint Textuality between Jeong ji-yong's poems and Lee sang's poems - Focusing on Special Quality of Discontinuous Tim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A Study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Jeong Ji-Yong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A Cognitive Poetic Study on Jeong Ji - yong's 「Jangsusan Ⅰ」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장수산1」에 대한 인지시학적 연구

A Cognitive Poetic Study on Jeong Ji - yong's 「Jangsusan Ⅰ」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모더니즘 문학과 일본어 글쓰기-정지용의 일본어 시작(詩作)을 중심으로-

The Korean Modernism Literature and Japanese Writing

일본연구 | 30 | 2011 | 일본어와문학

정지용과 김수영의 시에 있어서 근대 도시의 표상성 -‘지도’와 ‘유리’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Representation of Modernurbanism in the poetry of Jung, Ji-yong and Kim, Su-young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map and glass

우리어문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한시 수용 연구 - ‘용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its of Hansi in Jung Ji-yong's Poetry with a focus on his use of '용사'

한국시학연구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한시 수용 연구 - ‘용사’를 중심으로

A study of the Traits of Hansi in Jung Ji-yong's Poetry with a focus on his use of '용사'

한국시학연구 | | 27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타고르 시집 「기탄자리」 번역 시편 - 1923년 1월 발간된 「휘문」 창간호를 중심으로 -

On Jeong, Ji-Yong's Translation of Tagore's Poems in Gitanjali - Focusing on School Magazine Hwimoon First Published in January 1923. -

한국학연구 | 39 | 2011 | 기타인문학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eong Ji-yong's Poem, 「Sea 2」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의 「바다 2」 분석 -자연을 대상화하는 방식을 중심으로-

Analysis on Jeong Ji-yong's Poem, 「Sea 2」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에 나타난 근대성 연구

A Study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Jeong Ji-Yong

한국시학연구 | 30 | 2011 | 한국어와문학

감각적인 시어의 사용과 자유로운 시선의 이동 - 정지용 시 「瀑布」를 중심으로 -

Sensuous use of Poetic Words and Free Movement of Eyes - Focusing on Jeong Ji-yong's Poem 'Pokpo'(Waterfall)

Journal of korean Culture | 17 | 2011 | 현대시(국문학)

근대적 피로와 미적 초월의 욕망 - 1930년대 중반 정지용 시를 중심으로

Modern fatigue and desire of aesthetic transcendence -with poems of Jeong, Ji-yong in the middle 1930s as its center

한국문학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과 김기림의 문학적 상관성

Poetic Correlation between Jeong, Ji-Yong & Kim, Gi-rim

비평문학 | 44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지용 시와 이상 시의 對位的 텍스트성 - 불연속적 시간 특질을 중심으로

A study on Counterpoint Textuality between Jeong ji-yong's poems and Lee sang's poems - Focusing on Special Quality of Discontinuous Time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