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갈량

연구분야 : A020301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427

한자 : 諸葛亮
시호(諡號) : 충무후(忠武侯)
동의어(UF) : 제갈 공명(諸葛孔明)
동의어(UF) : 와룡선생(臥龍先生)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비 [ 劉備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국지 () [ 三國志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국지연의 () [ 三國志演義 ]

「동경대전」에 나타난 중국 인물 연구

Being Referred Some Famous Chinese within the 『Donggyeongdaejeon』

동학학보 | 21 | 2011 | 역사학

「해월신사법설」에 나타난 중국 인물 연구

Study of Famous Chinese within the 『Haeweolshinsa Bupseol』

동학학보 | 24 | 2012 | 역사학

《三國演義》의 歷史的 虛實 小考

중국어문학지 | 37 | 2011 | 중국어와문학

판소리 <赤壁歌>와 경극 <赤壁鏖兵>의 서사 구조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Pansoli Jeokbyeok-ga and Peking Opera Red Cliff Fierce Battle

한중인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판소리 <赤壁歌>와 경극 <赤壁鏖兵>의 서사 구조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Narrative Structure of Korean Pansoli Jeokbyeok-ga and Peking Opera Red Cliff Fierce Battle

한중인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삼국지』 인물 차용 시조의 유행과 시대적 동인에 대한 탐색

A Study on a Vogue of Sijo Depicting Characters in History of Three States and the Historical Cause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삼국풍진 졔갈량젼』의 번역 양상과 소설화 방식

Some aspects of translation and inclination in 『삼국풍진 졔갈량젼』

우리어문연구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풍진 졔갈량젼』의 번역 양상과 소설화 방식

Some aspects of translation and inclination in 『삼국풍진 졔갈량젼』

우리어문연구 | | 38 | 2010 | 한국어와문학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Zhu Ge Liang Iconography in China: Development and Change in Ming and Qing Visual Culture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Zhu Ge Liang Iconography in China: Development and Change in Ming and Qing Visual Culture

미술자료 | | 79 | 2010 | 미술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