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연의

연구분야 : A120205 인문학 > 중국어와문학 > 중문학 > 중국고전문학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6081

한자 : 三國志演義
기타 :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s
동의어(UF) : 삼국연의(三國演義)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DUF] 삼국연의 () [ 三國演義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의 소설 () [ 演義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대기서 (중국) [ 四大奇書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역사 소설 () [ 歷史小說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장회 소설 () [ 章回小說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적벽가 () [ 赤壁歌 ]

hasIssue (이슈/주제)

 

d04-04 전략/전술 전략/전술

미인계 [ 美人計 ]

hasIssue (이슈/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제갈량 (181-234) [ 諸葛亮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도원결의 [ 桃園結義 ]

isAffectedBy (영향요인)

 

 

전상삼국지평화

isAffectedBy (영향요인)

 

 

삼국지주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금병매 () [ 金甁梅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유기 () [ 西遊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수호전 [ 水滸傳 ]

RT (관련어)

등장인물/문헌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장비 [ 張飛 ]

RT_Y (◄관련어)

개작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모종강 [ 毛宗崗 ]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조와 판소리의 관련 양상

The Study on Relatives between Sijo and Pansori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6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역총해』의 한글 번역과 판본학적 고찰 - ‘사람을 인정함이 되느냐’ 어구를 중심으로-

『三譯總解』 的滿文底本與其漢文底本比較硏究 - 以 「關雲長千里獨行」 篇中所見矛盾語句爲中心 -

규장각 | 40 | 2012 | 기타인문학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Zhu Ge Liang Iconography in China: Development and Change in Ming and Qing Visual Culture

미술자료 | 79 | 2010 | 미술사

明, 淸代시각문화를 통해 본 諸葛亮圖像의 전개와 성격 변모

Zhu Ge Liang Iconography in China: Development and Change in Ming and Qing Visual Culture

미술자료 | | 79 | 2010 | 미술사

조선후기 『삼국지』 인물 차용 시조의 유행과 시대적 동인에 대한 탐색

A Study on a Vogue of Sijo Depicting Characters in History of Three States and the Historical Causes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A Study o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How It was Received and Perceived in Korea and Japan-

동아시아고대학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과 일본에서의 <삼국지연의> 전래와 수용

A Study on the Romance of the Three Kingdom -How It was Received and Perceived in Korea and Japan-

동아시아고대학 | | 23 | 2010 | 기타인문학

Rewriting Three Kingdoms: The Practice by Modern Korean Writers of Translating/Revising a Chinese Classic

중국문화연구 | 20 | 2012 | 중국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