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병매

연구분야 : A020304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세사(명청)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6473

한자 : 金甁梅
기타 : Jin Ping Mei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금병매사화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사대기서 (중국) [ 四大奇書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홍루몽 () [ 紅樓夢 ]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수호전 [ 水滸傳 ]

RT (관련어)

 

 

진본금병매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서유기 () [ 西遊記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국지 () [ 三國志 ]

RT (관련어)

 

 

서문경 () [ 西門慶 ]

RT (관련어)

 

 

춘매 () [ 春梅 ]

RT (관련어)

 

 

반금련 () [ 潘金蓮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삼국지연의 () [ 三國志演義 ]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A Study on the Entertaining Aspects of Tuho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이만수의 『投壺集圖』를 통해 본 조선 후기 投壺遊戱 양상

A Study on the Entertaining Aspects of Tuho in the late Joseon Dynasty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明淸商賈小說試論-≪金甁梅≫를 중심으로

明淸商賈小說試論--以≪金甁梅≫为中心

중국어문학지 | 36 | 2011 | 중국어와문학

동아시아 서사전통과 세정소설(世情小說) -『금병매』·『사씨남정기』를 중심으로

The narrative tradition of East Asia and Novels of Manners -the case of Jinpingmei and Sassinamjeonggi

동악어문학 | 59 | 2012 | 한국어와문학

明末 白話小說의 독자 및 수용양상 고찰 ―『金甁梅』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明末 白話小說의 독자 및 수용양상 고찰 ―『金甁梅』를 중심으로

중국어문학논집 | | 65 | 2010 | 중국어와문학

《金瓶梅》商业文化研究

Commercial culture and Jin Ping Mei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