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성제국대학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543

STNet ID : 1002455

한자 : 京城帝國大學
동의어(UF) : 경성제대(京城帝大)
기타 : 京城帝国大学
기타 : Keijo Imperial University
영어 : Gyeongseong Imperial University

y06-01 조직/단체명

이후기관명

[R] 경성대학

시대4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설립자

일본 (日本)

소재지1

종로구 (鍾路區)

구분

관립종합대학

종합 대학 (綜合大學)

설립목적_t

한국인의 고등교육기관을 봉쇄

설립일자_t

1924

해산일자_t

1945. 08. 15

개정일자_t1

1945. 08. 15

주소_t1

서울시 종로구 동숭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1:개념적

RT (관련어)

 

 

조선민립대학설립운동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조선교육회 () [ 朝鮮敎育會 ]

RT (관련어)

활동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식민 지배 [ 植民支配 ]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하 한국법률가의 활동과 평가

Roles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Lawy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법제연구 | 39 | 2010 | 법학

일제하 한국법률가의 활동과 평가

Roles and Evaluation of the Korean Lawyers during the Japanese Ruling Period

법제연구 | | 39 | 2010 | 법학

한국 현대역사학의 3分科制度 형성과 역사인식·역사연구방법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hree Divisional System and History Recogni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동방학지 | 149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현대역사학의 3分科制度 형성과 역사인식·역사연구방법

A Study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Three Divisional System and History Recognition of the Korean Modern Historical Studies

동방학지 | | 149 | 2010 | 기타인문학

경성 제국대학의 식민주의와 조선인 작가 - ‘감벽’의 심성과 문학 -

The Colonialism of Keijo(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Korean Writers: The Mentality and Literature of ‘Dark Blue’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성 제국대학의 식민주의와 조선인 작가 - ‘감벽’의 심성과 문학 -

The Colonialism of Keijo(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Korean Writers: The Mentality and Literature of ‘Dark Blue’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해방 전후 在韓日本人의 敗戰 경험과 한국 인식 -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를 중심으로

解放前後在韓日本人の敗戰經驗と韓國認識 -森田芳夫を中心に-

한국학논총 | 34 | 2010 | 역사이론

해방 전후 在韓日本人의 敗戰 경험과 한국 인식 - 모리타 요시오(森田芳夫)를 중심으로

解放前後在韓日本人の敗戰經驗と韓國認識 -森田芳夫を中心に-

한국학논총 | 34 | | 2010 | 역사이론

파시즘기 외국문학의 존재방식과 교양 - <인문평론>을 중심으로

The Existential Mode of Foreign Literature and Culture(Bildung) the Fascist Period Focusing on In Mun Pyung Lon -

한국문학연구 | 42 | 2012 | 한국어와문학

‘아름다움’에 이르려는 방황: 임학수론

Wandering in Search of Beauty: The Theory of Im Hak Soo

한국근대문학연구 | 24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남철과 ‘대학’ 제도의 안과 밖 ― 식민지 ‘학지(學知)’의 연속과 비연속 ―

Nam-cheol Shin and the Inside and Outside of ‘Collegiate’ System - Based on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of ‘learning for knowledge (學知)’ -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험의 파괴 ―아베 요시시게(安倍能成)에게 있어서의 식민지 조선, 패전, 그리고 자유

Destruction of Experience Colonial Choseon, Defeat, and Freedom in Abe Yoshishige(安倍能成)

대동문화연구 | 76 | 2011 | 기타인문학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A Study on Choi, Jae Seo's ideas of Culture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최재서의 문화 기획 연구

A Study on Choi, Jae Seo's ideas of Culture in 1930's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2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성제국대학의 유산 -일본의 식민교육체제와 한국의 고등교육-

Colonial Legacy of Keijō Imperial University : Japan's colonial education system and the aftermath

일본연구논총 | 34 | 2011 | 지역학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시기 ‘중인층’의 상승 이동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Upward Mobility of Traditional 'Middle Cla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담론201 | 13 | 4 | 2010 | 사회학

경성제국대학과 식민지 시기 ‘중인층’의 상승 이동

Kei-jo Imperial University and the Upward Mobility of Traditional 'Middle Cla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Korea

담론201 | 13 | 4 | 2010 | 사회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