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장

연구분야 : A080500 인문학 > 불교학 > 정토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7937

STNet ID : 9004085

한자 : 吉藏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호길장 [ 胡吉藏 ]

중국의 <유마경>해석 변천에 관한 일고찰 ― 수나라 3대법사의 ‘유마힐’해석을 중심으로

中国における『維摩経』解釈の変遷に関する一考察 ― 隋三大法師の「維摩詰」解釈を中心として

대동철학 | 51 | 2010 | 철학

중국의 <유마경>해석 변천에 관한 일고찰 ― 수나라 3대법사의 ‘유마힐’해석을 중심으로

中国における『維摩経』解釈の変遷に関する一考察 ― 隋三大法師の「維摩詰」解釈を中心として

대동철학 | | 51 | 2010 | 철학

三論學의 二諦說에 대한 재조명 ―理, 敎, 境, 智의 관계 및 於諦와 敎諦의 의미 분석

Reexamination on the Èr-dì(二諦) Theories of Sān-lù̀n(三論) Tradition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Reality(理), Teaching(敎), Object(境) and Wisdom(智) accompanied by an Analysis of the Meaning of Wū-dì(於諦) and Jiào-dì(敎諦)

불교학연구 | 30 | 2011 | 불교학

成玄英 『老子義疏』의 道論 -­般若學의 선택적 수용을 통한 도가류의 재창조를 중심으로-

Study about Dao in Cheng Hsuan-Ying(成玄英)'s Laoziyichou(老子義疏)

도교문화연구 | 36 | 2012 | 종교학

천태의 삼제원융론과 길장의 중도열반론의 논리체계와 그 지향점 비교

Intentional Comparison with Logic System of the Chentaejiui and Gasanggiljang

종교연구 | 63 | 2011 | 종교학

吉藏의 3種佛性說의 체계 -小菅陽子설의 보완적 검토-

On the System of Jizang’s Theory of Three Types of Buddha Nature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7 | 2012 | 정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