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쁨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9142

한자 : 喜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2-01 감정 감정

슬픔 () [ 哀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2-01 감정 감정

희로애락 [ 喜怒哀樂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2-01 감정 감정

칠정 [ 七情 ]

R1:개념적

RT_Y (◄관련어)

관련 감정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찬송 [ 讚頌 ]

C. S. Lewis-사실이 된 신화와 신화적 알레고리

C. S. Lewis: A Case of the Mythologized Fact and Mythical Allegory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9 | 2012 | 기독교신학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Aesthetic Appreciation as Cognitive and Evaluative Experience

인문연구 | 58 | 2010 | 기타인문학

인식적․평가적 경험으로서 미적 감상

Aesthetic Appreciation as Cognitive and Evaluative Experience

인문연구 | | 58 | 2010 | 기타인문학

공자의 행복관 : 『 論語』를 중심으로

Confucius’ viewpoint of happiness: Focusing on Analects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공자의 행복관 : 『 論語』를 중심으로

Confucius’ viewpoint of happiness: Focusing on Analects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Searching for the Meaning of Gaiety in W. B. Yeats’s “Lapis Lazuli”

예이츠의 “청금석”에 나타난 기쁨의 의미에 대한 탐구

한국 예이츠 저널 | 36 | 2011 | 영어와문학

유아교육기관의 남자 원장이 느끼는 어려움과 기쁨

The Difficulties and Joys of Male Director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

미래유아교육학회지 | 19 | 2 | 2012 | 교육학

Metaphorical Conceptualization of Joy in Russian: with Emphasis on the Container Image Schema

Метафорическая Концентуализация Радости: в основе Контейнер Схемы Изображения

슬라브어 연구 | 17 | 1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호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Evoked Emotions and Active/Calm Framing of Advertisements on Attitudinal Responses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호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Evoked Emotions and Active/Calm Framing of Advertisements on Attitudinal Responses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은유를 통한 ‘기쁨’의 이해

Understanding “Happiness” through a Study of its Metaphors

인간연구 | 20 | 2011 | 철학

러시아어 감정표현의 개념화 양상: 기쁨의 생리적 환유를 중심으로

The Conceptualization of the Emotion in Russian Language: with the psysiological metonymy of joy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 38 | 2011 | 러시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