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픔

연구분야 : A100000 인문학 > 문학

클래스 : 감정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9144

STNet ID : 1002479

한자 : 哀
영어 : sorrow
영어 : sadness
영어 : grief
독일어 : Trauer

c02-01 감정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반의

hasAntonym (반의(대응)어)

 

c02-01 감정 감정

기쁨 [ 喜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2-01 감정 감정

희로애락 [ 喜怒哀樂 ]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c02-01 감정 감정

칠정 [ 七情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2-01 감정 감정

비애 () [ 悲哀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비장미 [ 悲壯美 ]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애이불비 [ 哀而不悲 ]

RT (관련어)

 

c02-01 감정 감정

애도 () [ 哀悼 ]

RT (관련어)

 

 

비탄 () [ 悲歎 ]

윤동주 시의 예언자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Prophetic Imagination of Yun, Dong-joo's Poetr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윤동주 시의 예언자적 상상력 연구

A Study on the Prophetic Imagination of Yun, Dong-joo's Poetry

문학과 종교 | 15 | 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어 정(情)과 한(恨)의 러시아어 상응관계 연구

Conceptual structure of Korean “JEONG (정: 情)” and “HAN (한: 恨)” and its correspondence in Russian

슬라브어 연구 | 17 | 2 | 2012 | 러시아어와문학

<창선감의록>에 나타난 눈물의 작용과 의미 - 화진과 심씨 모자의 관계를 중심으로

Tears Work and The Effect on Changseongameuirok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백석 시에 나타난 감정과 언어의 관련 양상

A related aspect of feelings and language in Baekseok's poetry

한국시학연구 | 31 | 2011 | 한국어와문학

<숙향전>의 정서 연구

A Study on the Emotion in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슬픔을 밀어내는 서사의 힘

The Power of narrative pushing sorrow

인문학연구 | 41 | 3 | 2012 | 기타인문학

애도와 치유언어의 언어적 특징-박완서 수필 「한 말씀만 하소서」를 중심으로-

Linguistic Features of Lamentation and Healing Words-Focusing on Wanseo Bark’s Essay Please, Say a Word

언어학 연구 | 19 | 2011 | 기타언어학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호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Evoked Emotions and Active/Calm Framing of Advertisements on Attitudinal Responses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영상을 통한 개별 정서의 활성호와 광고의 정적/동적 프레이밍의 상호작용

Impact of the Interaction of Evoked Emotions and Active/Calm Framing of Advertisements on Attitudinal Responses

한국언론학보 | 54 | 4 | 2010 | 신문방송학

애도(哀悼)과정의 목회상담적 이해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Mourning from the Pastoral Perspective

목회와상담 | 15 | 2010 | 목회상담학

애도(哀悼)과정의 목회상담적 이해

Understanding of the Work of Mourning from the Pastoral Perspective

목회와상담 | 15 | | 2010 | 목회상담학

오월미술에 표현된 이별의 슬픔

The Emotion of both Separation and Grief in May Art

호남학 | 51 | 2012 | 기타인문학

農巖의 哀辭에 나타난 문장기법 연구

The sentence technique research which appears in a sad story of Nong-arm.

漢文古典硏究 | 23 | 1 | 2011 | 한국어와문학

신경숙의『깊은 슬픔』에 나타난 사랑과 슬픔의 의미 연구

A study on the meaning of love and sorrow in Shin's『Deep sorrow』

한국문예비평연구 | 34 | 2011 | 한국어와문학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한 효과적인 위로 사역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67 | 2010 | 기독교신학

상실로 인한 슬픔에 대한 효과적인 위로 사역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 67 | 2010 | 기독교신학

Toward Resolving the Paradoxical Enjoyment of Tragic Drama

비극적 드라마의 역설적 즐김의 해결을 위한 연구

미디어 경제와 문화 | 9 | 4 | 2011 | 기타신문방송학

감성 메커니즘으로서의 ‘哀而不悲’ - 서정시의 계보학적 고찰을 중심으로-

Aeibulbi as the sensitive mechanism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슬픔은 어디에서 오는가? -신체화된 마음을 중심으로-

Where is sadness come from? - focused on 'embodied mind' and the origin of sadness

철학탐구 | 31 | 2012 | 철학

슬픔의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Cure of Sadness

신학과 실천 | 23 | 2010 | 기독교신학

슬픔의 치유를 위한 기독교상담

Christian Counseling for the Cure of Sadness

신학과 실천 | | 23 | 2010 | 기독교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