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2010 |
기타인문학
元明 교체기 포은 정몽주의 華夷觀과 領域 인식
Poeun Jeong Mong-ju's World View & Territory Understanding
포은학연구 |
6 |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 초기의 ‘征伐’: 천명, 시계, 달력, 그리고 화약무기
The Logic of Zhengfa: Warfare, Calendar, Clock, and Firearm Weapon in 15th-Century Chosŏn
역사와 문화 |
21 |
2011 |
문화사(역사학)
이율곡의 십만양병설은 임진왜란용이 될 수 없다 -동북방의 여진 정세와 관련하여-
Lee Yul-gok's argument of nurturing 100,000 soldiers cannot be the one for Hideyoshi’s invasion of Korea called 'Imjin Waeran' -On the Status of Yeo-jin in Northeastern Area-
한일관계사연구 |
41 |
2012 |
역사학
16~17세기 여진의 성장과 요동 변경지대 성격 연구 - 변경지대의 변화를 통해 본 만리장성 동단기점설 비판 -
The Growth of Jurchens and the Character of the Liaodong Border Area : A Criticism on the Eastern Point of the Great Wall through the Change of Border Areas
동북아역사논총 |
34 |
2011 |
역사학
조선전기 滿浦鎭과 滿浦僉使
The Manpo Garrison and Manpo Cheomsa during early Joseon
사학연구 |
97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滿浦鎭과 滿浦僉使
The Manpo Garrison and Manpo Cheomsa during early Joseon
사학연구 |
|
97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55 |
2010 |
역사학
만주 역사를 바라보는 한국적 시각의 한 모색 - 許穆과 丁若鏞의 만주 諸種族 인식을 端緖로 -
The Search for Korean Perspective on Manchu Studies - Heo Mok and Jeong Yakyong’s Historical Study on Ethnic Groups in Manchu -
역사와 담론 |
|
55 |
2010 |
역사학
朝鮮前期 豆滿江流域에 나타나는두 개의 ‘朝鮮’
Two of the ‘Joseon’ in the Tumen River basin in early Joseon
명청사연구 |
37 |
2012 |
역사학
조선 초기의 군사전통 변화와 진법훈련
Transformation of the Military Tradition in the EarlyJoseon Dynasty and Military Training of the Jinbeop(陣法)
군사 |
74 |
2010 |
역사학
조선 초기의 군사전통 변화와 진법훈련
Transformation of the Military Tradition in the EarlyJoseon Dynasty and Military Training of the Jinbeop(陣法)
군사 |
|
74 |
2010 |
역사학
尹瓘의 生涯와 活動
The Life and Activity of Yun Gwan(尹瓘)
한국중세사연구 |
32 |
2012 |
역사학
고려시대 東女眞·東眞兵의 강원지역 침입에 대하여 -‘東女眞 海賊’의 침입을 중심으로-
Infiltration of ‘Eastern Jurchen’ and ‘Dong-Jin-byeong’ into Gangwon in Goryeo dynasty - Focused on ‘Eastern Jurchen Pirate’ -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두만강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urchen Fence・boundary Jurchens’ in Tumen River basin
韓國史學報 |
41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두만강유역 ‘女眞 藩籬・藩胡’의 형성과 성격
The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 of ‘Jurchen Fence・boundary Jurchens’ in Tumen River basin
韓國史學報 |
|
41 |
2010 |
역사학
조선 명종대 豆滿江 以北지역에 대한 ‘鎭’ 설치 시도 -伊應巨島의 子母鎭 설치와 女眞과의 분쟁을 중심으로-
Attempt to install ‘Jin’ in north of the Tumen River during the period of king Myeongjong in Joseon -Focused on installation of JamoJin in Yieunggeo Island and a dispute with Jurchen-
한일관계사연구 |
42 |
2012 |
역사학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 쪽구들 연구
Studying of ondol (kang) of Konstantinovka 1 settlement
고구려발해연구 |
38 |
2010 |
한국고대사
꼰스딴찌노브까 1 주거유적 쪽구들 연구
Studying of ondol (kang) of Konstantinovka 1 settlement
고구려발해연구 |
38 |
|
2010 |
한국고대사
분단 이전 북한 이성계⋅여진족 대결담의 유형과 <이성계 신화>로서의 인식체계
The category of the confrontation legend between Yiseonggye(李成桂) and the Jurchen(女眞) before division of territory and it's pattern recognition as
동방학 |
21 |
2011 |
기타인문학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On a Name of Jurchen Chieftai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인문논총 |
64 |
2010 |
기타인문학
여진족 추장 하질이(何叱耳)의 실록상 이표기에 대하여
On a Name of Jurchen Chieftain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인문논총 |
|
64 |
2010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女眞 僞使의 발생과 處理 問題에 대한 고찰
A Study on Occurrence of and Dealing with False Ambassadors of the Jurchen During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100 |
2010 |
역사학
조선전기 女眞 僞使의 발생과 處理 問題에 대한 고찰
A Study on Occurrence of and Dealing with False Ambassadors of the Jurchen During the Early Years of Joseon Dynasty
사학연구 |
|
100 |
2010 |
역사학
세조대의 여진관계와 정책 -여진인 來朝를 중심으로-
Relation and policy about Jurchen in the King Sejo -Focused on Jurchen envoy-
한국사연구 |
151 |
2010 |
역사학
세조대의 여진관계와 정책 -여진인 來朝를 중심으로-
Relation and policy about Jurchen in the King Sejo -Focused on Jurchen envoy-
한국사연구 |
|
151 |
2010 |
역사학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朝鮮前期 對女眞政策
백산학보 |
88 |
2010 |
역사학
조선 시대 女眞에 대한 정책
朝鮮前期 對女眞政策
백산학보 |
|
88 |
2010 |
역사학
조선초기의 여진 관계와 여진인식의 고착화-태조~세종대를 중심으로-
A awareness and relation about Jurchen in the early years of Chosun-from King Taejo to King Sejong-
한일관계사연구 |
35 |
2010 |
역사학
조선초기의 여진 관계와 여진인식의 고착화-태조~세종대를 중심으로-
A awareness and relation about Jurchen in the early years of Chosun-from King Taejo to King Sejong-
한일관계사연구 |
|
35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