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관

연구분야 : A020200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클래스 : 인간(지위/벼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7943

한자 : 譯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R] 고려-조선시대 ()

S:동의

UF (비우선어)

 

 

설인 [ 舌人 ]

UF (비우선어)

 

 

역속 [ 驛屬 ]

UF (비우선어)

 

 

역인 [ 驛人 ]

UF (비우선어)

 

 

역어인 [ 譯語人 ]

UF (비우선어)

 

 

역어지인 [ 譯語之人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관직 () [ 官職 ]

N1:종류

hasKind (종류)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소통사 [ 小通事 ]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승문원 [ 承文院 ]

RT (관련어)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사역원 [ 司譯院 ]

역학서 언해와 조선의 외국어 교육

On Yeokhakseo'eonhaes(譯學書諺解) and the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Choseon Period

동악어문학 | 58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소현세자빈 강씨의 리더십에 대한 재조명

Reappraisal leadership of the Crown Princess Ka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한국사상과 문화 | 62 | 2012 | 한국어와문학

高麗時代 技術官의 사회적 지위

Social Status of Technocrats in Goryeo Age

한국사상과 문화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高麗時代 技術官의 사회적 지위

Social Status of Technocrats in Goryeo Age

한국사상과 문화 | | 51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역관 아전 계층의 사회와 문화 -필기․야담 자료를 중심으로-

The community and culture of the class of official interpreters and aid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 Focused on Pilgi and Yadam materials-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한․중 서사의 교류와 구비전승의 역할

Intercourse of Narrative between Joseon and China on the Role of Oral Tradition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통역의 역사 개관 - 고려시대까지

An Overview of the Korean Interpreting History I (until the Goryeo Dynasty)

통번역학연구 | 16 | 1 | 2012 | 통역번역학

역관 이언진의 대외인식 고찰

A Study on Foreign Recognition of an official interpreter, Lee Uon Jin

온지논총 | 28 | 2011 | 기타인문학

譯官 洪純彥과 朝明外交

译官洪純彥和朝明外交

중국사연구 | 70 | 2011 | 동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