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행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정치/국제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11

한자 : 燕行

c03-05 정치/국제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행록 [ 燕行錄 ]

RT_X (관련어►)

관련 국가

x01-02 국가명 국가명

청나라 (1616-1912) [ 淸-- ]

남성 주체의 결핍과 상실을 대리 표상하는 ‘사그라진 신부(新婦)’ -<첫날밤에 소박맞은 신부> 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Study on the Image of ‘Vanishing Bride’ Representing the Loss and Melancholy of the Male-Subject -The Study on the Oral Narrative of "the Bride Deserted on Wedding Night"-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3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전이야기 ‘다시쓰기(Re-Writing)’를 활용한 자기탐색 글쓰기 교육

The Study on a Educational Application of Re-writing an Oral Narratives for a Writing of Self-Examination

구비문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관서․관북 지역의 시가 향유 양상

A Study on the Aspects of Enjoyment of Siga at Kwanseo and Kwanbuk Area in Chosun Dynasty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시조에 나타난 대화체의 장르 수용 양상과 의미 -『韓國時調大事典』을 중심으로-

Reception Aspects and Meaning of Other Genre of Korean Verse with Dialogic Style -Focused on Dictionary of Korean Sijo-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 31 | 1 | 2012 | 기타인문학

굿의 연행론적 접근을 통한 마당극 양식론 연구

Research of the Styles of the Madanggeuk Through Approach of the Performance´s Style of the Gut

민족미학 | 10 | 2 | 2011 | 미학일반

식민지기 경남 지역사회의 탈춤 ‘부흥’ 운동과 주도자들 ― 동래 야류 연행의 문화정치학

A Study of Performance History of Dongrae Mask Dance Dram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1910-45 and its Cultural Politics

대동문화연구 | 79 | 2012 | 기타인문학

스와힐리 민담 연행에서 구연상투어의 역할

The Role of Oral-Formulas in Swahili Oral Narrative Performanc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27 | 1 | 2010 | 기타아프리카

스와힐리 민담 연행에서 구연상투어의 역할

The Role of Oral-Formulas in Swahili Oral Narrative Performances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 27 | 1 | 2010 | 기타아프리카

드라마의 텍스트적 육체성 - 최인훈의 <봄이 오면 山에 들에>를 중심으로 -

The textual corporeality of a drama - with Choi Inhoon's as the center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드라마의 텍스트적 육체성 - 최인훈의 <봄이 오면 山에 들에>를 중심으로 -

The textual corporeality of a drama - with Choi Inhoon's as the center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4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거리굿의 전형성과 특징

Typicality and Feature of Georigut

한국민속학 | 53 | 2011 | 역사학

사고와 연행의 시각에서 바라본 구술성의 교육적 구도

The Educational Composition of Orality Study from the Viewpoint of Thinking and Performance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느낌, 극락같은>에 나타난 의식의 연행과 리미널 공간의 경험

The Performance of Consciousness and the Experience of Liminal Space in A Feeling, Like Paradise

드라마 연구 | 37 | 2012 | 연극이론

<춘향전>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의 다양화 방안 모색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versification Plan of Education in Korean Classic Novel -Focusing the seventh training cours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한국언어문학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춘향전>을 통한 고전소설 교육의 다양화 방안 모색 -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versification Plan of Education in Korean Classic Novel -Focusing the seventh training courses of high school korean language-

한국언어문학 | | 75 | 2010 | 한국어와문학

마을 지형 및 지명 유래담의 공동체 구성력 탐구

The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ng the Border of Community by Performing Oral-Narratives of the Origin of Topography or Toponym of the Place in Town

비교민속학 | 46 | 2011 | 역사학

성적 담론의 연행과 젠더화 전략

The Study on the Project of the Gendered i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presenting the sexual desire and image by female subject

열상고전연구 | 32 | 2010 | 기타국문학

성적 담론의 연행과 젠더화 전략

The Study on the Project of the Gendered i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presenting the sexual desire and image by female subject

열상고전연구 | | 32 | 2010 | 기타국문학

花川 趙濈의 燕行과 한시 창작

The Envoy to Peking by Cho Ji and the Relation Between Ming and Chosun in the Early Injo Dynasty

동방한문학 | 52 | 2012 | 한국어와문학

尺牘을 통한 淸代學人과의 학술교류 - 이덕무와 박제가를 중심으로 -

Academic Exchanges through Letters with Chinese Intellectuals of Qing Dynasty - Cases of Lee Deok-Mu and Park Je-Ga -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봉산탈춤 노장과장의 구성방식과 연행양상

Structure of Bongsan Mask Dance's Nhojang Gwajang and the Aspects of Its Performance

국학연구론총 | 8 | 2011 | 기타인문학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경계의 재구성

The Study on the Performance of the Oral-Narrative Re-constructing the Border of Community

동양고전연구 | 42 | 2011 | 기타인문학

무대에서의 전래 동화 구연에 관한 연구 -언어적/비언어적 요소와 콘텍스트를 중심으로-

A Performance Study on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tories in a Stage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판소리 연행과 민족지적 기술 -국악단 협연 형태의 판소리 공연 사례 기술을 중심으로-

Pansori Performance and the Ethnographical Description

시학과 언어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담헌 홍대용의 연행 중 교우활동과 교육적 의의

During Damhun(湛軒) Hong, Dae-Yong(洪大容)' Yeon-am(燕巖), the Friendship(交友) Activity and the Educational Meaning

교육사상연구 | 25 | 1 | 2011 | 교육학

冠巖 洪敬謨의 歷史・地理 認識

Historic and Geographic Understanding of Kwan-Am, Hong, Kyeong-Mo

한국인물사연구 | 14 | 2010 | 역사학

冠巖 洪敬謨의 歷史・地理 認識

Historic and Geographic Understanding of Kwan-Am, Hong, Kyeong-Mo

한국인물사연구 | | 14 | 2010 | 역사학

燕行에서 書畵 求得 및 聞見 사례 연구

The Introduction of Chinese Paintings through the Tribute Missions to Beijing

미술사학 | 26 | 2012 | 미술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Export and Import Goods in the Chosun Envoy Trades

한국실학연구 | 20 | 2010 | 역사학

조선후기 연행무역과 수출입 품목

Export and Import Goods in the Chosun Envoy Trades

한국실학연구 | | 20 | 2010 | 역사학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The Portraits of Envoys Sent to China in Joseon Period

명청사연구 | 33 | 2010 | 역사학

赴京使行에서 제작된 朝鮮使臣의 肖像

The Portraits of Envoys Sent to China in Joseon Period

명청사연구 | | 33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