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어학회

연구분야 : A000000 인문학

클래스 : 조직/단체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279

STNet ID : 1002494

한자 : 朝鮮語學會

y06-01 조직/단체명

이전기관명

조선어연구회 (朝鮮語硏究會)

이후기관명

한글학회 (--學會)

시대4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구분

학회 (學會)

설립목적_t

우리말과글의 연구

설립일자_t

1931

해산일자_t

1942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큰사전

N2:부분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윤재 [ 李允宰 ]

hasMember (구성원)

 

 

김윤경

hasMember (구성원)

 

 

장지영

hasMember (구성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최현배 (1894-1970) [ 崔鉉培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안재홍 [ 安在鴻 ]

RT (관련어)

 

b01-02 교육활동 교육활동

한글 교육 [ --敎育 ]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어사전 [ 朝鮮語辭典 ]

RT (관련어)

1932년 속간

 

한글 (기관지)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6-01 조직/단체명 조직/단체명

한글학회 [ --學會 ]

succeedes (선행(시대,현상))

 

 

조선어연구회 () [ 朝鮮語硏究會 ]

고전비평의 탄생 : 가람 이병기의 문학사적․지성사적 위치

The Birth of a Criticism o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고전비평의 탄생 : 가람 이병기의 문학사적․지성사적 위치

The Birth of a Criticism on Classical Korean Literature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군정기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 재론 -조선어학회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in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군정기 국어 교과서의 편찬 과정 재론 -조선어학회와 조선문화건설중앙협의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On the Circumstance of Publishing the Textbook Korean in the Period of American Military Administration

배달말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학회 사건 전후의 조지훈

Jo Ji-hun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cas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우리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학회 사건 전후의 조지훈

Jo Ji-hun i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case The Korean language Society

우리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세영 조선어사전의 편찬 과정과 국어사전사적 의미

The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Moon Seyoung's The Korean dictionar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해방 후 우리말 도로 찾기 운동의 내용과 성과

Recovery Campaign of Mother Tongue and Its Result after Korean Liberation

한글 | 296 | 2012 | 한국어와문학

미군정기 『한글 첫걸음』 교재에 대한 맥락 연구

A Contextual Study on the Korean Textbook First Step in Korean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문세영 조선어사전의 편찬 과정과 국어사전사적 의미

The Study on the Historical Meaning of Moon Seyoung's The Korean dictionary

동방학지 | 154 | 2011 | 기타인문학

1940년대 언어정책과 국민문학―잡지 매체를 중심으로―

Language Policies and National Literature in the 1940s

일본근대학연구 | 34 | 2011 | 일본문화학

이희승의 문세영 『조선어사전』 비판에 대한 검토

A Closer Examination of Lee Heeseung's Blame on The Korean dictionary of Moon Seyoung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미군정기 『한글 첫걸음』 교재에 대한 맥락 연구

A Contextual Study on the Korean Textbook First Step in Korean by the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겨레어문학 | 48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어사전』 저자 문세영 연구

The Study of Moon Seyoung, the Author of The Korean Dictionary

史叢(사총) | 73 | 2011 | 기타역사일반

8ㆍ15 해방 직후 조선어학회의 활동 ― 1945. 8. 15~1946. 2 ―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Language Society directly after the Liberation on August 15- from August 15. 1945 to February 1946 -

사림 | 41 | 2012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