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불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행위/활동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42

한자 : 念佛
기타 : Amitabul chanting

b01-01 행위/활동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칭명염불 [ 稱名念佛 ]

R1:개념적

RT (관련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생활 불교 () [ 生活佛敎 ]

RT (관련어)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미타신앙 [ 彌陀信仰 ]

RT (관련어)

 

b01-01 행위/활동 행위/활동

화행 [ 化行 ]

R2:기능적

isAppliedTo (적용 대상)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평염불 [ 平念佛 ]

<회심가>의 이념구도와 청허 사유 체계의 상관성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CheongHoe(淸虛)'s thinking style

어문론총 | 54 | 2011 | 한국어와문학

<회심곡>류 불교 가사의 단락 전개ㆍ구성과 선악ㆍ생사관

A study on the repenting song Buddhist Gasa style(回心曲類佛敎歌辭)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원효의 淨土사상에 있어서 淨土往生의 논리와 수행체계

The Logic and The Training System in The Thoughts of Pure Land(淨土) of Won-hyo(元曉)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유마경』의 정토사상과 西洋의 유토피아사상 고찰

『Vimalakīrti-nirdeśa-Sūtra』’s Pureland, considerate thoughts and the Occident about Utopia's thought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영남 삼현육각(三絃六角) 연구 - 통영 삼현육각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Yeongnam(嶺南) Samhyeonyukgak(三絃六角) - centered on Tongyeong(統營) Samhyeonyukgak -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불교의식 사시불공의 음악학적 연구

A study of the musical aspects of Buddhist ritual Shashi Bulgong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불교의식 사시불공의 음악학적 연구

A study of the musical aspects of Buddhist ritual Shashi Bulgong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영남 삼현육각(三絃六角) 연구 - 통영 삼현육각을 중심으로 -

The Study on Yeongnam(嶺南) Samhyeonyukgak(三絃六角) - centered on Tongyeong(統營) Samhyeonyukgak -

한국음악연구 | 49 | 2011 | 음악학

한국 불교음악의 전통과 미래

Succession and prospect of korean buddhist music

동아시아불교문화 | 8 | 2011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운서주굉(雲棲株宏)의 방생결사에 나타난 수행론: 거사(居士)들의 수행을 중심으로

The Praxiology on Yunxi Zhuhong’s Society to Free Living Beings: Focusing on the Practice of Confucian Lay Buddhists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念佛修行과 涅槃의 구체화에 대한 一考

The Study of the Buddhist Invocation practice and Nirvana`s materialization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念佛修行과 涅槃의 구체화에 대한 一考

The Study of the Buddhist Invocation practice and Nirvana`s materialization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

念佛修行과 涅槃의 구체화에 대한 一考

The Study of the Buddhist Invocation practice and Nirvana`s materialization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13 | 2010 | 정토학

念佛修行과 涅槃의 구체화에 대한 一考

The Study of the Buddhist Invocation practice and Nirvana`s materialization

정토학연구(淨土學硏究) | | 13 | 2010 | 정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