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재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189

한자 : 靈山齋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중요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重要無形文化財)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 (--無形文化遺産)

유형/장르

천도재 (薦度齋)

지정호수_t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지정일자_t

1973. 11. 05

형태

무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Purpose (목적)

 

 

무운장구 () [ 武運長久 ]

hasPurpose (목적)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극락왕생 [ 極樂往生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불교 의례 () [ 佛敎儀禮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50호

 

국가무형문화재 (문화재보호법) [ 國家無形文化財 ]

R1:개념적

RT (관련어)

 

 

봉원사 [ 奉元寺 ]

RT (관련어)

상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영산회상 () [ 靈山會相 ]

<사다라니>의 음악적 연구

A study on music of

한국음악연구 | 48 | 2010 | 음악학

<사다라니>의 음악적 연구

A study on music of

한국음악연구 | 48 | | 2010 | 음악학

한국 근대불교의 의례와 범패

A Study on a Buddhist ritual and Bompae in Korea Modern Buddhism

禪學(선학) | 29 | 2011 | 응용불교학

범패 전승의 역사적 고찰 -한국․중국 범패 전래 과정을 중심으로-

A Historical Study on the Transmission of Pŏmp'ae -Focus on the Process of Development of Korean and Chinese Pŏmp'ae-

한국음악사학보 | 46 | 2011 | 음악학

몽골 ‘참’과 한국 ‘영산재’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Mongol’s ‘Tsam’ with Korea’s ‘Yeongsanjae’

몽골학 | 32 | 2012 | 기타동양어문학

세계문화유산 <영산재>의무용창작모티브 활용에 대한 논의-2012 한국무용제전을 중심으로-

A Study on Utilizing Motif in Dance Creation of World Heritage -Focusing on the Works Participating in Korean Dance Festival-

우리춤과 과학기술 | 8 | 2 | 2012 | 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