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혼

연구분야 : A040300 인문학 > 종교학 > 종교현상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270

한자 : 靈魂
영어 : spirit
영어 : soul
기타 : 霊魂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영靈 () [ 靈 ]

R1:개념적

isConceptOf (개념(전체))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영혼관 [ 靈魂觀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조령 [ 祖靈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원귀 [ 寃鬼 ]

RT (관련어)

 

a01-07 준인간 준인간

원령 [ 怨靈 ]

RT (관련어)

 

e04-01 인위적공간 인위적공간

영전 [ 靈前 ]

기독교 신비주의의 두 흐름과 T. S. 엘리엇의 존 던에 대한 재평가

Two Streams of Christian Mysticism and T. S. Eliot’s Revaluation of John Donne

T. S. 엘리엇연구 | 21 | 1 | 2011 | 영어와문학

淸末 도덕 개혁의 一端 ― 譚嗣同의 ≪仁學≫을 중심으로

중국학논총 | 35 | 2012 | 중국어와문학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Background of Sambaso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with Miyal Grandmother-

구비문학연구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바소(三番叟)의 형성과 배경 연구 -미얄할미와의 비교적 관점에서-

The Research on the Formation andBackground of Sambaso -from a comparative point of viewwith Miyal Grandmother-

구비문학연구 | | 31 | 2010 | 한국어와문학

칸트와 헤겔의 감성관 비교

Die Auffassung der Sinnlichkeit bei Kant und Hegel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와 헤겔의 감성관 비교

Die Auffassung der Sinnlichkeit bei Kant und Hegel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존 던의 양성평등적 사랑

John Donne’s Gender-Equal Love

중세르네상스영문학 | 19 | 1 | 2011 | 영어와문학

西學의 개념, 사유 체계와 소통·대립 양상 -마테오 리치의 저작과 논쟁을 중심으로-

Changes of concept and thinking system influenced by Seohak(西學)

한국사상사학 | 34 | 2010 | 역사학

西學의 개념, 사유 체계와 소통·대립 양상 -마테오 리치의 저작과 논쟁을 중심으로-

Changes of concept and thinking system influenced by Seohak(西學)

한국사상사학 | | 34 | 2010 | 역사학

동서양의 감정이해 − 플라톤과 율곡을 중심으로 −

Die Auffassung der Emotion im Abendland und Ostasien - Mit Schwerpunkt auf Platon und Yulgok

동방학 | 20 | 2011 | 기타인문학

何承天 사상의 肉體와 靈魂의 관계에 대한 논증 고찰

A Research on Relation of Body with Soul in He Cheng tian's Though

퇴계학논총 | 19 | 2012 | 기타인문학

선불교의 내세관 소고

仙佛教的来世观研究

仙道文化 | 13 | 2012 | 기타철학일반

西學의 개념, 사유 체계와 소통·대립 양상 -마테오 리치의 저작과 논쟁을 중심으로-

Changes of concept and thinking system influenced by Seohak(西學)

한국사상사학 | 34 | 2010 | 역사학

西學의 개념, 사유 체계와 소통·대립 양상 -마테오 리치의 저작과 논쟁을 중심으로-

Changes of concept and thinking system influenced by Seohak(西學)

한국사상사학 | | 34 | 2010 | 역사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불교의 緣起論으로 본 서정주의 시

The Poetry of Seo Jeong-Ju in terms of Buddhist philosophy of Karma

우리문학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원론적 기독론 이해의 기원: 터툴리안의 『육체의 부활론』 중심으로

The Origin of Soteriologico-Christological Understanding: Centered on Tertullianus’ On the Resurrection of the Flesh

성경과 신학 | 61 | 2012 | 기독교신학

초기불교 윤회설의 한 단면

A Slice of Early Buddhism about Metempsychosis

동아시아불교문화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초기불교 윤회설의 한 단면

A Slice of Early Buddhism about Metempsychosis

동아시아불교문화 |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에피쿠로스의 원자론과 신의 문제

The Problem of Gods in the Epicurean Atomism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Caraka-saṃhitā에 나타난 윤회관

The Notion of Transmigration in Caraka-saṃhīta

인도철학 | 33 | 2011 | 철학

생명의 기원과 다양성 그리고 ‘나의 문화’로서의 생명개념 -토마스 아퀴나스와 가브리엘 마르셀을 중심으로-

L’origine et divercité de la vie et la notion de la vie en tant que ‘culture de Moi’ -Autour de Thomas d'Aquin et Gabriel Marcel-

가톨릭철학 | 16 | 2011 | 철학

죽음과 불멸성에 관한 소고

생명연구 | 25 | 2012 | 서양철학

儒敎的 孝의 宗敎性과 祭禮

儒教‘孝’的宗教性與祭禮

동아인문학 | 19 | 2011 | 기타인문학

北村透谷의 文學과 運命

北村透谷の文学と運命

일본언어문화 | 22 | 2012 | 기타일본어학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A Sy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플라톤의 수치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lato's Concept of Shame

동서철학연구 | 65 | 2012 | 철학

김소월 「詩魂」의 반(反)시론적 성격 연구

A Sy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Kim So-weol's Poetic Soul(詩魂)

국어국문학 | 159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약성서의 인간 이해

An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in the Old Testament

한국기독교신학논총 | 73 | 2011 | 기독교신학

보나벤투라는 천사주의자인가? -보나벤투라 인간학에서 실체적 형상으로서의 영혼 개념 이해-

Bonaventure, est-il angéliste? -la conception de l’ame humaine comme forme substantielle chez Bonaventure-

중세철학 | 16 | 2010 | 철학

보나벤투라는 천사주의자인가? -보나벤투라 인간학에서 실체적 형상으로서의 영혼 개념 이해-

Bonaventure, est-il angéliste? -la conception de l’ame humaine comme forme substantielle chez Bonaventure-

중세철학 | | 16 | 2010 | 철학

고대 이집트인의 사후 세계와 영혼 이해

Ancient Egyptian Understandingof the Afterlife and Soul

중앙사론 | 31 | 2010 | 역사학

고대 이집트인의 사후 세계와 영혼 이해

Ancient Egyptian Understandingof the Afterlife and Soul

중앙사론 | | 31 | 2010 | 역사학

플라톤의 ‘명예’의 윤리학

The Ethics of the honor in Plato's dialogues

인문학연구 | 38 | 1 | 2011 | 기타인문학

현대과학에서의 자아문제와 삼위일체적 자아 이해: 현대 뇌 과학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 in the modern science and the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person: with the neuroscientific perspective on human being

한국조직신학논총 | 28 | 2010 | 조직신학

현대과학에서의 자아문제와 삼위일체적 자아 이해: 현대 뇌 과학을 중심으로

The problem of the understanding of the person in the modern science and the trinitarian understanding of the person: with the neuroscientific perspective on human being

한국조직신학논총 | | 28 | 2010 | 조직신학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Cartesian Problematics of Passions

기호학 연구 | 28 | 2010 | 언어학

데카르트의 정념론과 그 이후

Cartesian Problematics of Passions

기호학 연구 | 28 | | 2010 | 언어학

행복의 목적론

The Telelogoy of Happiness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행복의 목적론

The Telelogoy of Happiness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영혼에 관한 인도 철학의 세 가지 관점

Three Perspectives on the Concept of the Soul in Indian Philosophy

가톨릭신학과사상 | 67 | 2011 | 가톨릭신학

마음의 실천철학— 우리는 자유로운 마음을 어떻게 얻을 수 있는가? —

Practical Philosophy of the Mind. How can we get the free mind?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50 | 2011 | 원불교학

Исследование значений слов «сердце» и «душа» в русской фразеологии

A Study on the Meaning of Words 'сердце’ and ‘душа’ in Russian Phraseology: In Terms of Linguistic View of World

슬라브어 연구 | 16 | 1 | 2011 | 러시아어와문학

기억과 상기의 신화와 철학

The Myth and Philosophy of Memory and Recolle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45 | 2010 | 철학

기억과 상기의 신화와 철학

The Myth and Philosophy of Memory and Recollection

현상학과 현대철학 | | 45 | 2010 | 철학

北村透谷의 文學에 미친 純潔의 影響

The Chastity on the Literature of Tokoku Kitamura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

北村透谷의 文學에 미친 純潔의 影響

The Chastity on the Literature of Tokoku Kitamura

일본어문학 | 53 | 2011 | 일본어와문학

플로티노스 철학에 나타난 ‘신체’와 영혼의 ‘관조’ 개념 -스포츠 철학의 근원적 의미에 집중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the Body and the Theoria of Soul in the Philosophy of Plotinus -focused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philosophy of sports-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플로티노스 철학에 나타난 ‘신체’와 영혼의 ‘관조’ 개념 -스포츠 철학의 근원적 의미에 집중하여-

A study on the Concept of the Body and the Theoria of Soul in the Philosophy of Plotinus -focused on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philosophy of sports-

움직임의 철학 : 한국체육철학회지 | 18 | 2 | 2010 | 체육

김소월 「시혼」의 理氣論的 고찰

A study on Kim, So-Wol's poetics Sihon(詩魂) with Liki(理氣)philosophy

어문론총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김소월 「시혼」의 理氣論的 고찰

A study on Kim, So-Wol's poetics Sihon(詩魂) with Liki(理氣)philosophy

어문론총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La Regenta에서 그려지는 등장인물의 이중성

The duality of doña Ana and don Fermín in La Regenta

이베로아메리카 연구 | 23 | 2 | 2012 | 스페인어와문학

인간의 본질과 죽음 그리고 영혼과 육체의 분리 - 신약성서의 개인적·내세적 종말론의 논쟁점을 중심으로

Leib und Seele des Menschen und die Trennung im Tode: Individuelle-jenseitige Eschatologie im Neuen Testament

장신논단 | 44 | 1 | 2012 | 기타기독교신학

보나벤투라의 인간학에서 영혼의 자립가능성과 인간의 통일성의 관계

Enjeu antropologique de la substantialité de l’âme et de l’unité de l’homme chez Bonaventure

가톨릭철학 | 15 | 2010 | 철학

보나벤투라의 인간학에서 영혼의 자립가능성과 인간의 통일성의 관계

Enjeu antropologique de la substantialité de l’âme et de l’unité de l’homme chez Bonaventure

가톨릭철학 | | 15 | 2010 | 철학

혼백론에서 영혼론으로

From Hunbo(魂魄) Theory to Anima Theory

가톨릭신학과사상 | 67 | 2011 | 가톨릭신학

Platon 사상에서 고찰한 행복한 삶의 조건 ― <파이돈>을 중심으로

he Condition of happy Life in Platon ― focusing on Phaidon

대동철학 | 58 | 2012 | 철학

철학의 치유적 논변과 실천적 기능

Therapeutic Arguments and Practical Function of Philosophy

현대유럽철학연구 | 22 | 2010 | 서양철학

철학의 치유적 논변과 실천적 기능

Therapeutic Arguments and Practical Function of Philosophy

현대유럽철학연구 | | 22 | 2010 | 서양철학

존재와 공간의 시학 - Henri Bosco의 ‘히야신스’(Hyacinthe)를 중심으로 -

Une étude sur la quête du moi et la dimension poétique autour de Hyacinthe, récit de Henri Bosco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8 | 2011 | 프랑스문화학

아니무스와 아니마 -루크레티우스의 『사물의 본성에 대하여』III, 136-176을 중심으로-

Animus und Anima in der epikureisch-lukrezschen Seelenlehre

중세철학 | 17 | 2011 | 철학

禪의 관점으로 본 한글시의 영혼

Die Kritik über die Seele in die koreanischen Gedichte nach dem Zen(禪)-Geist

인문과학연구 | 31 | 2011 | 기타인문학

플라톤 철학에서 기억과 영혼

The Memory and the Soul in Plato’s Philosophy

범한철학 | 66 | 3 | 2012 | 철학

아비첸나의 영혼 불멸성과 개체화의 문제

Individuation Individuation and Incorruptibility of the Human Soul in Avicenna

철학논집 | 21 | 2010 | 철학

아비첸나의 영혼 불멸성과 개체화의 문제

Individuation Individuation and Incorruptibility of the Human Soul in Avicenna

철학논집 | 21 | | 2010 | 철학

영혼, 생명, 우주 - 1910년대, 제1차 세계대전의 충격과 '죽음'의 극복 -

The Individualized Form of Modern Time and Space — The Concepts of Spirit, Life, Universe in 1910s’ Korea—

개념과 소통 | 7 | 2011 | 역사학

알렉산드로스의 영혼 이론-형상들의 형상

Alexander’s Theory of Soul: Soul as Form of Forms Soul as Form of Forms: Alexander's Theory of Soul

서양고전학연구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알렉산드로스의 영혼 이론-형상들의 형상

Alexander’s Theory of Soul: Soul as Form of Forms Soul as Form of Forms: Alexander's Theory of Soul

서양고전학연구 | | 41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