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론

연구분야 : A030204 인문학 > 철학 > 한국철학 > 한국유가철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2730

한자 : 湖論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호학 [ 湖學 ]

安東 金門의 지식논쟁과 지식권력의 형성 -農巖 金昌協의 학문적 입장을 중심으로-

Knowledge Debates of the Kims of Andong and the Formation of Knowledge Power: The Case of the Academic Position of Nong-am Kim Chang-hyeop

민족문화연구 | 56 | 2012 | 기타인문학

조선 후기 노론 학맥의 분화와 그 세계관 − 18세기 호락학파의 형성과 현실인식을 중심으로 −

Division of NoRon School Root and its World Viewpoint Late in Chosun - Focused on the Formation of HoRak School and their Cognition on the Reality in the 18th Century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人物性同異論 硏究 成果를 통해 본 ‘같음’과 ‘다름’의 의미

On the Meanings of the Sameness and the Difference, from examining the Debates of the Original Sameness a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Human beings and other Living Things, owing to the late Achievements of the Philosophical Studies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朝鮮祖 性理學의 洛論과 艮齋性理學의 특징

朝鮮祖性理学的洛论与艮齋性理学的特征

간재학논총 | 11 | 2011 | 한국유가철학

호락논변의 연구 성과와 전망

湖洛论辩的研究成果和展望

유교사상문화연구 | 44 | 2011 | 유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