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불교

연구분야 : A081300 인문학 > 불교학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클래스 : 사회제도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189

한자 : 日本佛敎
영어 : Japanese Buddhism

d02-01 사회제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동아시아 불교 () [ 東--佛敎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d01-01 이론/사상 /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정토진종 [ 淨土眞宗 ]

hasBranch (분기/분과)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일본 근대 불교 () [ 日本近代佛敎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미국 불교 () [ 美國佛敎 ]

affects (영향)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대만 불교 () [ 臺灣佛敎 ]

hasIssue (이슈/주제)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대처식육 [ 帶妻食肉 ]

isAffectedBy (영향요인)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백제 불교 () [ 百濟佛敎 ]

RT (관련어)

 

d04-01 기법/방식 기법/방식

지역 불교 연구 [ 地域佛敎硏究 ]

한국 문화로서의 불교 ― 20세기 초 한국에서의 불교의 정체성 ―

Buddhism as the Cultural Tradition of Korea: The Identity of Buddhism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

종교연구 | 60 | 2010 | 종교학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백용성(白龍城)과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를 중심으로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Focusing on Baek,Yong-Sung(白龍城) And Kiyozawa Manshi(淸澤萬之)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백용성(白龍城)과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를 중심으로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Focusing on Baek,Yong-Sung(白龍城) And Kiyozawa Manshi(淸澤萬之)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식민지 조선 일본불교의 사회사업동향* -신슈오타니파(真宗大谷派)의 사회사업을 사례로-

The Trend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Colonial Korea -Social Work under Shinshū Ōtani -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6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식민지 조선 일본불교의 사회사업동향* -신슈오타니파(真宗大谷派)의 사회사업을 사례로-

The Trend of Social Work of Japanese Buddhism in Colonial Korea -Social Work under Shinshū Ōtani -

차세대 인문사회연구 | | 6 | 2010 | 기타사회과학일반

朝鮮(1897-1910)における浄土宗の動向

일본연구 | 14 | 2010 | 일본어와문학

朝鮮(1897-1910)における浄土宗の動向

일본연구 | | 14 | 2010 | 일본어와문학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13 | 2010 | 불교학

식민지(1910~1945)시대의 불교와 국가권력

Buddhism and State Power in Colony Times(1910-1945)

대각사상 | | 13 | 2010 | 불교학

現代日本仏教の展開と課題

Development and Task in Japanese buddhism present-day

동아시아불교문화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現代日本仏教の展開と課題

Development and Task in Japanese buddhism present-day

동아시아불교문화 | | 5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일본불교의 근대인식과 개항기 조선 ―정토종(淨土宗)의 교육사업을 중심으로―

The Recognition of Japanese Buddhism for Modernity and Chosun during the Opening of Ports

일본근대학연구 | 32 | 2011 | 일본문화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