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불교

연구분야 : B081500 사회과학 > 사회학 > 문화/종교사회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3568

한자 : 東--佛敎
영어 : East Asian Buddh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N1:종류

hasKind (종류)

 

d02-01 사회제도 사회제도

일본 불교 () [ 日本佛敎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중국 불교 [ 中國佛敎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불교 () [ 韓國佛敎 ]

hasKind (종류)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인도 불교 [ 印度佛敎 ]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백용성(白龍城)과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를 중심으로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Focusing on Baek,Yong-Sung(白龍城) And Kiyozawa Manshi(淸澤萬之)

불교연구 | 32 | 2010 | 불교학

‘원형’에의 의지와 동아시아 근대불교-백용성(白龍城)과 키요자와 만시(淸澤滿之)를 중심으로

The Original Directivity Pattern of Modern Buddhism in East Asia -Focusing on Baek,Yong-Sung(白龍城) And Kiyozawa Manshi(淸澤萬之)

불교연구 | | 32 | 2010 | 불교학

아시아 근대불교의례와 「禪門日誦」의 유통

Modern ritual of Buddhism and Daily recitation in Zen school(禪門日誦) in Asia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아시아 근대불교의례와 「禪門日誦」의 유통

Modern ritual of Buddhism and Daily recitation in Zen school(禪門日誦) in Asia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Korean Buddhist Thought in East Asian Context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본 한국의 불교사상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