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불교

연구분야 : A080000 인문학 > 불교학

클래스 : 이론/사상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3180

한자 : 韓國佛敎
영어 : Korean buddhism

d01-01 이론/사상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동아시아 불교 () [ 東--佛敎 ]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종교 [ 韓國宗敎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조선 불교 [ 朝鮮佛敎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태고종 () [ 太古宗 ]

hasBranch (분기/분과)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선불교 () [ 韓國禪佛敎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천태종 () [ 天台宗 ]

hasBranch (분기/분과)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고려 불교 [ 高麗佛敎 ]

R1:개념적

affects (영향)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미국 불교 () [ 美國佛敎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한역대장경 [ 漢譯大藏經 ]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조선 불교 통사 [ 朝鮮佛敎通史 ]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14 | 2010 | 불교학

범어사 3.1운동의 재조명

Reconsideration of 3.1 movement in Beomeosa temple

대각사상 | | 14 | 2010 | 불교학

Deconstructing the Centric Way of Thinking and Ecological Practices in Korean Buddhist Communities

중심주의의 해체와 한국불교의 생태윤리 실천

환경철학 | 12 | 2011 | 과학/자연철학

退翁性徹의 頓悟頓修的 見性과 究竟覺에 대한 考察

Sudden Enlightenment/Sudden Cultivation in T'oeong Sŏngch'ŏl's Doctrine of Ultimate Awakening Achieved through “Seeing One's Nature”

불교학보 | 62 | 2012 | 기타불교학

한국 禪院의 생태적 사유와 전통

A Study on the Ecological Grounds and Traditions of Korean Zen Monasticism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삼국유사에 나타난 민간신앙 ― 산신신앙을 중심으로 ―

Folk Faith in Samgugyusa - in the Sansin(山神, Mountain God) Faith

한국사상과 문화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삼국유사에 나타난 민간신앙 ― 산신신앙을 중심으로 ―

Folk Faith in Samgugyusa - in the Sansin(山神, Mountain God) Faith

한국사상과 문화 | | 52 | 2010 | 한국어와문학

중국 산동성의 한국종교

The Korean Religions in Shandong Sheng(山东省) of China

인문과학 | 46 | 2010 | 기타인문학

중국 산동성의 한국종교

The Korean Religions in Shandong Sheng(山东省) of China

인문과학 | | 46 | 2010 | 기타인문학

돈오점수(頓悟漸修)와 초기불교의 수행

On Early Buddhist Practice from the viewpoint of Sudden Enlightenment Gradual Cultivation(頓悟漸修)

인도철학 | 31 | 2011 | 철학

서양 학계의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

Western Scholarship on Ancient Korean Buddhism

신라사학보 | 21 | 2011 | 역사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3) - 한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56 | 2010 | 철학

대산 김대거의 宗敎聯合思想과 연원(3) - 한국불교의 和會思想을 중심으로 -

A Study on Daesan's Thought for the United Religions and It's Ideological Origins ― Korean Buddhism's Harmony-Thought ―

동서철학연구 | | 56 | 2010 | 철학

한국불교의 세계화 담론에 대한 반성과 제언

A Reflection and Proposal on the Discourse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Buddhism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 16 | 1 | 2010 | 응용불교학

한국 불교의 생명⋅생태 사상과 그 실천 운동

Ecological Application of Korean Buddhism and Its Contemporary Practices

철학사상 | 41 | 2011 | 철학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eon School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11th Century

불교학보 | 56 | 2010 | 기타불교학

11세기 한국불교계의 선종(禪宗) 상황과 특징

The Characteristics and Situations of Seon Schools of Korean Buddhism during the 11th Century

불교학보 | | 56 | 2010 | 기타불교학

용성선사의 선밀쌍수에 대한 고찰

A Study on Dual practice of Seon Esoteric Buddhism of Yongseong Seon Master

禪文化硏究 | 12 | 2012 | 기타불교학

한국불교의 현재와 미래 — 불교계 종단의 분파활동과 그 문제점을 중심으로 —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Buddhism — Centering the problem of the sect activity with Buddhist System —

종교연구 | 68 | 2012 | 종교학

위빠사나(vipassanā)에 비추어 본 보조 지눌의 수행체계

Chinul's Practice System from a Perspective of Vipassanā Meditation

보조사상 | 35 | 2011 | 종교학

Korean Buddhist Thought in East Asian Context

동아시아의 맥락에서 본 한국의 불교사상

불교학보 | 60 | 2011 | 기타불교학

한국인의 종교생활 2 -상식철학으로 읽는 불교의 문제들과 대안들-

Religious Life in Korea 2 -The Common Sense Philosophy reads the Korean Buddhism and gives Hot Tip-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한국불교문화의 만(卍)과 연화문에 대한 연구 - 상징성을 중심으로 -

Korea's Buddhist Culture Studies on The Svastika & Lotus - Focused on Symbolism -

정보디자인학연구 | 14 | 2 | 2011 | 정보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