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불교

연구분야 : A081300 인문학 > 불교학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클래스 : 학파/종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0870

한자 : 朝鮮佛敎

y06-03 학파/종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BranchOf (분기의 기준 개념)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한국 불교 () [ 韓國佛敎 ]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불교의 불교문화재 인식

Korean Modern Buddhism and Buddhist Cultural Assets

보조사상 | 36 | 2011 | 종교학

개화승 이동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formist Monk Lee, Dong-Inn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개화승 이동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formist Monk Lee, Dong-Inn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한국 근대 불교학 방법론의 등장과 불교사 서술의 의미

韩国近代佛教学方法论的出现与佛教史叙述的意义

한국학연구 | 23 | 2010 | 기타인문학

한국 근대 불교학 방법론의 등장과 불교사 서술의 의미

韩国近代佛教学方法论的出现与佛教史叙述的意义

한국학연구 | | 23 | 2010 | 기타인문학

1910년대 최남선의 문명・문화론과조선불교 인식

Ch’oe Nam-son's Understanding on Civilization, Culture and Korean Buddhism during 1910s

한국사연구 | 155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사원의 불사와 寺刹契

A Study on a Buddhist temple service and Temple Fraternities in Late Chosun Dynasty

禪學(선학) | 28 | 2011 | 응용불교학

일제하 조선불교 청년운동의 양상과 조직 변경 - 1928~1931년『일제 경성지방법원 편철문서』를 중심으로 -

The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and the Social Aspect of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Focused on the Filed Document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from 1928 to 1931

영남학 | 17 | 2010 | 기타인문학

일제하 조선불교 청년운동의 양상과 조직 변경 - 1928~1931년『일제 경성지방법원 편철문서』를 중심으로 -

The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and the Social Aspect of the Joseon Buddhist Youth Movement under the Japanese Colonial Rules: Focused on the Filed Documents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under Japanese Colonial Rules from 1928 to 1931

영남학 | | 17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연구 | 22 | 2010 | 기타인문학

식민지 조선의 황도불교와 공(空)의 정치학

The Imperial-Way Buddhism and the Politics of Emptiness in Colonial Korea

한국학연구 | | 22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