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세황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G030203 예술체육 > 미술 > 순수미술 > 동양화/한국화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7

STNet ID : 9002271

한자 : 姜世晃
시호(諡號) : 헌정(憲靖)
호(號) : 노죽(路竹)
호(號) : 표옹(豹翁)
호(號) : 첨재(添齋)
호(號) : 표암(豹菴)
호(號) : 산향재(山響齋)
기타 : Kang Sehwang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광지 [ 光之 ]

朝鮮後期 米法山水圖 硏究

A Study of “Mi Family’s Style Landscape Painting” in Late Chosun Period

미술사학 | 26 | 2012 | 미술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Landscape with SarangChae - Library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Visualization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사랑채가 있는 풍경 - 조선 후기 서재문화와 서재의 시각화-

Landscape with SarangChae - Library Culture of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s Visualization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김홍도 생애의 재구성

Reconstructing the Life of Kim Hongdo

美術史論壇 | 34 | 2012 | 미술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2)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시를 대상으로-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2)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1) -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도시>를 대상으로 -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1) -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which were composed by Kang, Se-hwang -

韓國古典硏究 | 22 | 2010 | 고전산문

화가의 자작 제화시와 화면상의 이미지의 재산출 방향(1) - 강세황의 <칠탄정십육경도시>를 대상으로 -

The Painter's Poems about his own Pictures and the Direction of Reproducing the Poetic Image from the Pictorial Image(1) - With reference to “Chil Tan Pavilion sixteen Poems” which were composed by Kang, Se-hwang -

韓國古典硏究 | | 22 | 2010 | 고전산문

李嚞煥의 『剡社篇』에 대한 재고 - 18세기 안산지역 詩會의 맥락 검토를 겸하여

Reconsidering Lee Chol-hwan's Seomsapyeon - with reviewing the context of poetry clubs in Ansan region in the 18th century.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

李嚞煥의 『剡社篇』에 대한 재고 - 18세기 안산지역 詩會의 맥락 검토를 겸하여

Reconsidering Lee Chol-hwan's Seomsapyeon - with reviewing the context of poetry clubs in Ansan region in the 18th century.

한국한시연구 | 1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