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옥균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3928

STNet ID : 9001106

한자 : 金玉均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백온 [ 伯溫 ]

UF (비우선어)

 

고우 [ 古愚 ]

UF (비우선어)

 

고균 [ 古筠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y06-03 학파/종파명 학파/종파명

개화파 [ 開化派 ]

R1:개념적

RT (관련어)

친분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수정 [ 李樹廷 ]

아베 미츠이에(阿部充家)의 생애 기초 연구

阿部充家の生涯-基礎研究

한국학연구 | 25 | 2011 | 기타인문학

개화파연구의 실증적 초석 쌓기와 그 의의-李光麟의『開化黨硏究』를 중심으로-

Building the Foundation of the Empirical Study on the Enlightenment Faction and its Significance : Focused on Lee Kwang-rin’s The Progressive Party : 1879~1884

한국사연구 | 148 | 2010 | 역사학

개화파연구의 실증적 초석 쌓기와 그 의의-李光麟의『開化黨硏究』를 중심으로-

Building the Foundation of the Empirical Study on the Enlightenment Faction and its Significance : Focused on Lee Kwang-rin’s The Progressive Party : 1879~1884

한국사연구 | | 148 | 2010 | 역사학

개화승 이동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formist Monk Lee, Dong-Inn

한국불교학 | 58 | 2010 | 종교학

개화승 이동인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formist Monk Lee, Dong-Inn

한국불교학 | | 58 | 2010 | 종교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나카무라 겐타로(中村健太郞)의 「아베(阿部)무불옹(無佛翁)을 추모함」 - 해설 및 역문 자료

Nakamura Kentaro(中村健太郞)’s 「Cherishing the memory of Abe(阿部) Mubul-ong(無佛翁)」-Introduction and commentary-

한국학 | 33 | 1 | 2010 | 기타인문학

朝鮮開化派와 후쿠자와 유키치(福澤諭吉)

朝鮮開化派と福沢諭吉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동남제도개척사 김옥균의 활동과 영토·영해 인식 - 울릉도·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

The Activities and Territorial Understanding of Kim Ok Gyun: The Land-Opening Official for the Southeastern Islands

동북아역사논총 | 36 | 2012 | 역사학

명치 일본의 김옥균 서사 연구 : 김옥균과 한・일 서사문학의 관련 양상 I

A Study on Narrative of Kim Ok-kyun in Meiji period : Kim Ok-kyun and Relation of Korea-Japan Narrative Literature Ⅰ

한국학연구 | 26 | 2012 | 기타인문학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문화적 재현과 그 의미 -식민지시대 김옥균의 극적 재현방식을 중심으로-

The Cultural Representation of Kim Ok-gyun in Colonial Korea and it's Meanings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