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TV드라마의 서사 구조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Narrative Structure in Novel and TV Drama
인문언어 |
13 |
2 |
2011 |
기타인문학
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The project of intertextuality through appropriation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s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기 소설의 영문학 작품 수용과 상호텍스트성의 기획
The project of intertextuality through appropriation of English literature in the Late Japanese colonial period’s novels
민족문학사연구 |
47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피[血]’의 담론과 일본어 소설
The Discourse of ‘Blood’ and the Korean Novel by Japanese Language in 1930s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피[血]’의 담론과 일본어 소설
The Discourse of ‘Blood’ and the Korean Novel by Japanese Language in 1930s
우리말글 |
51 |
2011 |
한국어와문학
이효석의 일본어 소설 시대인식 연구-「은은한 빛」이 제기하는 ‘ 조선적인 것’
A Study on the Percep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of Lee Hyo-seok’s Japanese Work
한국문예창작 |
11 |
2 |
2012 |
문학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Cultural Vehicle or Literary Art?
문화의 매개체인가 문학예술인가?
통번역학연구 |
14 |
1 |
2010 |
통역번역학
Korean Literature in Translation: Cultural Vehicle or Literary Art?
문화의 매개체인가 문학예술인가?
통번역학연구 |
14 |
1 |
2010 |
통역번역학
일제 말 소설의 창작방법
A Study on the creation styles of korean novels in lat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 소설의 창작방법
A Study on the creation styles of korean novels in late colonial period
현대소설연구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勞動)과 성(性)의 문제 - 「인간문제」와 「화분(花粉)」을 중심으로 -
The problem of labour and sexuality in the 1930s' novel - focusing on 「human issues」 and 「flower flour(花粉)」
인문과학연구 |
29 |
2011 |
기타인문학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노동(勞動)과 성(性)의 문제 - 「인간문제」와 「화분(花粉)」을 중심으로 -
The problem of labour and sexuality in the 1930s' novel - focusing on 「human issues」 and 「flower flour(花粉)」
인문과학연구 |
29 |
2011 |
기타인문학
이효석 문학의 초월적 미의식 고찰
李孝石(イ·ヒョソク)の文学の超越的美意識考察
한국문학논총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구라파주의’의 형식으로서의 소설 -이효석 작품에 나타난 서양문화의 인유에 대하여-
The Novel as a Realization of Europeanism -About the allusion of Western culture in the novel of Lee Hyo-suk-
현대문학의 연구 |
46 |
2012 |
한국어와문학
경성 제국대학의 식민주의와 조선인 작가 - ‘감벽’의 심성과 문학 -
The Colonialism of Keijo(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Korean Writers: The Mentality and Literature of ‘Dark Blue’
우리말글 |
49 |
2010 |
한국어와문학
경성 제국대학의 식민주의와 조선인 작가 - ‘감벽’의 심성과 문학 -
The Colonialism of Keijo(Kyungsung) Imperial University and Korean Writers: The Mentality and Literature of ‘Dark Blue’
우리말글 |
49 |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효석을 다시 보자 : 식민지 조선에서 태어난 자유로운 예술지상주의자
Re-thinking Yi, Hyo-seok
민족문학사연구 |
49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치적 인간과 성적(性的) 인간 -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성(性)’의 재해석
A Study on the Various Aspects of Sexuality in Lee Hyo-seok's Novel
외국문학연구 |
46 |
2012 |
문학
이효석의 <푸른 탑>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전략 - 서양고전의 차용과 변용
The strategy of Japanese-Korean marriage in : Borrowing and transformation of Western classic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효석의 <푸른 탑>에 나타난 내선결혼의 전략 - 서양고전의 차용과 변용
The strategy of Japanese-Korean marriage in : Borrowing and transformation of Western classic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2 |
2012 |
한국어와문학
이효석 소설에 나타난 ‘성’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sex' in the novels of Lee-Hyosuk
현대문학의 연구 |
43 |
2011 |
한국어와문학
도시 공간의 인식을 통한 근대성 탐구 - 이효석의 「都市와 幽靈」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Modernity through Cognition of City Space - Focus on Lee Hyo-Suk's City and Ghost -
어문학 |
115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