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래 동요

연구분야 : G020100 예술체육 > 음악학 > 한국음악이론/분석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6550

한자 : 傳來童謠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동요 [ 童謠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전래 동화 [ 傳來童話 ]

중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일본음악 1 -악곡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Japanese Music of the Music Textbooks of Grade 1 in Korean Middle Schools (Part 1) : Focused on the Songs

국악교육연구 | 6 | 2 | 2012 | 예술교육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번역 불가능성’의 심연 -식민지 시기 김소운의 전래동요 번역(日譯)을 중심으로

An Abyss of ‘Impossibility of Translation’-Kim So-Woon’S Recognition of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ranslation

민족문학사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전래동요의 수집과정과장르적 전범의 형성과정-애국계몽기~1920년대 미디어 소재 텍스트를 중심으로-

The Process of Collecting Korean Traditional Children’s Songs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Genre Model —With Focus on the Texts Contained in the Media From the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to the 1920s—

반교어문연구 |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몽 전래동요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Mongolian Traditional Children´s Song

몽골학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한․몽 전래동요의 비교 연구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Mongolian Traditional Children´s Song

몽골학 | | 28 | 2010 | 기타동양어문학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의 단소 지도내용 고찰

A Study on the Teaching Contents of Danso in the Music Textbooks of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국악교육연구 | 6 | 2 | 2012 | 예술교육

한국 전래동요의 노랫말 난이도 분석이 보육교사의 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Analysis of Difficulty in Lyrics of Korea Traditional Nursery Rhyme and Application

한국영유아보육학 | 69 | 2011 | 사회복지학

전래동요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발달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through nursery rhyme play

유아교육연구 | 30 | 1 | 2010 | 교육학

전래동요를 통해 유아가 경험하는발달적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through nursery rhyme play

유아교육연구 | 30 | 1 | 2010 | 교육학

전래동요를 활용한 신체표현활동이 유아의 창의적 신체표현력 및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Physical Expression Activities through Traditional Children's Song on Young Children's Creative Physical Expression Abi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어린이문학교육연구 | 13 | 1 | 2012 | 교육학

전래동요 속 자연물을 소재로 한 자연미술활동이 유아의 자연친화적 태도 및 미술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Nature Art Activity Using the Natural Objects Appearing in Folk Songs on Children's Nature Friendly Attitude and Artistic Expression Ability

육아지원연구 | 7 | 1 | 2012 | 유아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