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성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325

STNet ID : 1002616

한자 : 月城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사적 (史蹟)

유형/장르

성(城) (城)

제작시대

신라 시대 (新羅時代)

소재지

경주 (慶州)

관리자(처)

경주 (慶州)

지정호수_t

사적 제16호

지정일자_t

1963. 01. 21

주소_t

경북 경주시 인왕동(仁旺洞) 387-1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재성 [ 在城 ]

B2:전체

isSpatiallyIncludedIn (공간적 전체)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경주 월성 지구 [ 慶州月城地區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4 인공물 인공물

사적 (문화재보호법) [ 史蹟 ]

빛의 시선과 어둠의 시선 - 고대 중국의 해 신화와 달 신화 -

Eye of Light, Eye of Darkness : A Study on Some Solar Myths and Lunar Myths of Ancient China

종교와 문화 | 19 | 2010 | 기타종교학

빛의 시선과 어둠의 시선 - 고대 중국의 해 신화와 달 신화 -

Eye of Light, Eye of Darkness : A Study on Some Solar Myths and Lunar Myths of Ancient China

종교와 문화 | | 19 | 2010 | 기타종교학

新羅 上代 太子制의 運營과 東宮의 設置

Cho, Bum-hwan The Crown Prince and the East Palace in the Early Silla

신라문화 | 35 | 2010 | 역사학

新羅 上代 太子制의 運營과 東宮의 設置

Cho, Bum-hwan The Crown Prince and the East Palace in the Early Silla

신라문화 | | 35 | 2010 | 역사학

GPR탐사를 통해 본 경주 월성의 유적 분포현황 연구

A Study of Disposition of Archaeological Remains in Wolseong Fortress of Gyeongju : Using Ground Penetration Radar(GPR)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GPR탐사를 통해 본 경주 월성의 유적 분포현황 연구

A Study of Disposition of Archaeological Remains in Wolseong Fortress of Gyeongju : Using Ground Penetration Radar(GPR)

문화재 | 43 | 3 | 2010 | 역사학

陶唐山과 그 성격 -祭儀를 중심으로-

Dodansan(陶唐山) and its characteristic -focused on rites ceremony-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陶唐山과 그 성격 -祭儀를 중심으로-

Dodansan(陶唐山) and its characteristic -focused on rites ceremony-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

慶州 月城·蚊川 題詠詩 硏究

A study of poems that sang of Weolseong and Muncheon in Kyungju

신라문화 | 36 | 2010 | 역사학

慶州 月城·蚊川 題詠詩 硏究

A study of poems that sang of Weolseong and Muncheon in Kyungju

신라문화 | | 36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