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춘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599

STNet ID : 9001283

한자 : 柳希春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P:개념속성연관

hasWork (창작물)

 

y02-01 문헌명 문헌명

칠서언해 [ 七書諺解 ]

S:동의

UF (비우선어)

 

인중 [ 仁仲 ]

UF (비우선어)

 

미암 [ 眉巖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문신 [ 文臣 ]

R1:개념적

RT (관련어)

남편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미암부인 송씨 [ 眉巖夫人 宋氏 ]

조선전기 潭陽 大谷 宋氏家의 成長과 關係網

The Expansion and Networks of The Song's Family in Damyang Daegok during the First Period of Joseon Dynasty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전기 潭陽 大谷 宋氏家의 成長과 關係網

The Expansion and Networks of The Song's Family in Damyang Daegok during the First Period of Joseon Dynasty

호남학 | 50 | 2011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19세기 재지사족층의 친족결집 노력과 내적 균열양상 -호남지역 善山 柳氏家의 친족활동을 중심으로-

A Yangban Family's Striving for the Solidarity of Kinsmen and Its Failure in Late Chosŏn -focusing on the Ryus of Sun-san(善山 柳氏)'s Case-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19세기 재지사족층의 친족결집 노력과 내적 균열양상 -호남지역 善山 柳氏家의 친족활동을 중심으로-

A Yangban Family's Striving for the Solidarity of Kinsmen and Its Failure in Late Chosŏn -focusing on the Ryus of Sun-san(善山 柳氏)'s Case-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19세기 재지사족층의 친족결집 노력과 내적 균열양상 -호남지역 善山 柳氏家의 친족활동을 중심으로-

A Yangban Family's Striving for the Solidarity of Kinsmen and Its Failure in Late Chosŏn -focusing on the Ryus of Sun-san(善山 柳氏)'s Case-

韓國史學報 | 38 | 2010 | 역사학

19세기 재지사족층의 친족결집 노력과 내적 균열양상 -호남지역 善山 柳氏家의 친족활동을 중심으로-

A Yangban Family's Striving for the Solidarity of Kinsmen and Its Failure in Late Chosŏn -focusing on the Ryus of Sun-san(善山 柳氏)'s Case-

韓國史學報 | | 38 | 2010 | 역사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續蒙求分註』의 分註 방식 試考

A Study on the way of annotation in 『Sok-Mong-Gu Bun-Ju』(續蒙求分註)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의 『續蒙求』 硏究

The Study on 『Sok Mong Gu』(續蒙求) of Mi-Am(眉巖) Yu Hi-Chun(柳希春)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연구논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柳希春의 서적교류와 地方板本의 유통

The Book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Local Editions of Yoo Hee Chwun through 『MiAm diary』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연구논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柳希春의 서적교류와 地方板本의 유통

The Book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Local Editions of Yoo Hee Chwun through 『MiAm diary』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續蒙求分註』의 分註 방식 試考

A Study on the way of annotation in 『Sok-Mong-Gu Bun-Ju』(續蒙求分註)

동양고전연구 | 48 | 2012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宋德峯 文學 硏究

A Study on the Literature of Song Deok-bong

동아시아고대학 | 28 | 2012 | 기타인문학

16세기 夫婦間의 일상사 해결의 양상 - 柳希春과 宋德奉의 경우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ppearance of the marital problem-solving in 16C

동양고전연구 | 46 | 2012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in the 16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in the 16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