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암일기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기념물명(문화재)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302

한자 : 眉巖日記

Y04 기념물명(문화재)

구분1

보물 (寶物)

유형/장르

일기 (日記)

제작자

유희춘 (柳希春)

제작시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소재지

담양 (潭陽)

소장처(자)

유근영

관리자(처)

유근영

지정호수_t

제260호

지정일자_t

1963-01-21

형태

유형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Y04 기념물명(문화재) 기념물명(문화재)

보물 (문화재보호법) [ 寶物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일기 [ 日記 ]

黙齋日記와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의 冠·婚·喪·祭禮

A Study on 16th century’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rituals in Mukjeilgi and Miamilgi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2010 | 한문비평

黙齋日記와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의 冠·婚·喪·祭禮

A Study on 16th century’s coming-of-age, wedding, funeral, sacrifice rituals in Mukjeilgi and Miamilgi

한문학논집(漢文學論集) | 30 | | 2010 | 한문비평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의 의학 기록 연구

A Study on Medicine-Related Contents in Miamilgi

민족문화 | 36 | 36 | 2010 | 기타인문학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in the 16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in the 16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in the 16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16세기 전라관찰사의 순행길

The Patrols of the Jeolla-do Provincial Magistrates in the 16th century

지방사와 지방문화 | 13 | 2 | 2010 | 역사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38 | 2010 | 기타인문학

『미암일기』에 나타난 인물평가 방식

A Study on The Character Evaluations in Mi-Am Ilgi(眉巖日記)

동양고전연구 | | 38 | 2010 | 기타인문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연구논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柳希春의 서적교류와 地方板本의 유통

The Book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Local Editions of Yoo Hee Chwun through 『MiAm diary』

지역과 역사 | 26 | 2010 | 역사학

【연구논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柳希春의 서적교류와 地方板本의 유통

The Books Exchange and Distribution of Local Editions of Yoo Hee Chwun through 『MiAm diary』

지역과 역사 | | 26 | 2010 | 역사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에 나타난 退溪 관련 기사에 대한 고찰

Study of articles related to Toegye(退溪) shown in Miam Ilgi(眉巖日記)

퇴계학논집 | | 7 | 2010 | 철학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21 | 2010 | 고전산문

『眉巖日記』를 통해 본 16세기 중반의 날씨 기록과 표현

The Record and Expression of the Weather in-the mid 16C in Mi-Am ilgi(眉巖日記)

韓國古典硏究 | | 21 | 2010 | 고전산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