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사강목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87635

STNet ID : 1002635

한자 : 東史綱目
음차어 : Dongsagangmok

y02-01 문헌명

저작자

안정복 (安鼎福)

시대1

조선 후기 (朝鮮後期)

장르/유형

역사서 (歷史書)

저작년_t

1778[정조2년]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R2:기능적

hasMethod (방법/기법)

 

 

편년체 [ 編年體 ]

조선후기 설인귀 인식의 맥락과 문학적 반영의 의미

The meaning of the awareness about Seol-in-gwi and the reflection to literature in late Chosun dynasty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萬卷堂과 濟美基德堂에 대한 재검토

A Consideration on the Two Buddhist Shrines of Mangwon-dang and Jemigidok-dang dedicated by King Chungseon of Goryeo dynasty

역사학보 | 210 | 2011 | 역사학

『동사강목』의 편찬 배경과 강목체 기년

Compiling Background and the Gangmok Style of Chronologies of Dongsa Gangmu

韓國史學史學報 | 24 | 2011 | 역사학

順菴 安鼎福의 時務 인식 -『東史綱目』의 ‘按’說을 중심으로-

The current affairs recognition of Ahn Jeong bok

한국사상사학 | 34 | 2010 | 역사학

順菴 安鼎福의 時務 인식 -『東史綱目』의 ‘按’說을 중심으로-

The current affairs recognition of Ahn Jeong bok

한국사상사학 | | 34 | 2010 | 역사학

조선 후기 실학자들의 발해사 연구 성과

Studies on Balhae's History Performed by Sirhak Scholars

한국고대사연구 | 62 | 2011 | 한국고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