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화의 극복, 여성의 숨은 힘
Overcoming the calamity of literati, the hidden power of the woman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역사의 허구화와 정체성 탐구 : 안 에베르의 『최초의 정원』
Fictionnalisation de l'histoire et quête d'identité : Le premier jardin d'Anne Héber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2010 |
프랑스문화학
역사의 허구화와 정체성 탐구 : 안 에베르의 『최초의 정원』
Fictionnalisation de l'histoire et quête d'identité : Le premier jardin d'Anne Hébert
프랑스문화예술연구 |
34 |
|
2010 |
프랑스문화학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A study of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茂亭 鄭萬朝의 친일로 가는 思惟
A study of the reason of Moojung Jeong Man-jo's pro-Japanes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 시문의 典故 運用 양상과 의미
A Study on the Aspects of Authentic Precedents Used in Poetry by Miam Yu Hui-chun(유희춘)
고전문학연구 |
40 |
2011 |
한국어와문학
元나라의 耽羅 통치와 移住, 그리고 자취
元朝对耽羅的統治與人口遷徙的歷史遺跡
중국사연구 |
76 |
2012 |
동양사
惕若齋 金九容 使行詩에 형상화된 情懷와 그 특징 -1384년 使行時期에 창작된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The affect and features expressed in the envoy poetry of Kim Ku-yong - Focusing on the works of the year 1384 envoy period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艱貞日錄』을 통해본 金欞(1805-1866)의 임자도 유배생활
Lyung Kim’s Exile in Imjado through Kanjungillouk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 -『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Life Style of Exiles Represented in Korean Poetry in Chinese -Focused on “Jeongheon Yeonghaecheogamrok (Jeongheon's Writing on Experience in a Place of Exil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시에 나타난 유배객의 생활 모습 -『정헌영해처감록』을 중심으로-
Life Style of Exiles Represented in Korean Poetry in Chinese -Focused on “Jeongheon Yeonghaecheogamrok (Jeongheon's Writing on Experience in a Place of Exile)”-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左 丁範祖의 함경도 유배기 漢詩 일고찰
A study of chinese poems written by Jeong Beom-jo in exile
동악어문학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海左 丁範祖의 함경도 유배기 漢詩 일고찰
A study of chinese poems written by Jeong Beom-jo in exile
동악어문학 |
|
54 |
2010 |
한국어와문학
眉巖 柳希春 시문에 나타난 鍾城 유배기 활동 양상
The Aspects of Activities Presented in Poetry by Miam Yu Hui-Chun During Exile at Jong Sung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정철의 「탐라잡영(耽羅雜詠)」 연구
A Study on Tamra Japyeong(Songs of Tamra) of Jo Jeong-cheol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정철의 「탐라잡영(耽羅雜詠)」 연구
A Study on Tamra Japyeong(Songs of Tamra) of Jo Jeong-cheol
동양한문학연구 |
32 |
32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추자도 유배인의 추이와 생활양상
The Change of Exile and Living Patterns on Chooja Island during the Period of late Chosun Dynasty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
조선조 제주도 유배 문학의 위상 -孤立無援의 絶域에서 구현한 儒家之敎의 表象-
A Study on the Status of Exile Literature in Jeju during Joseon Dynasty
韓國古典硏究 |
24 |
2011 |
고전산문
박태보의 정치에 대한 기대와 지방관으로서의 태도 고찰
A Study on Park Tae-Bo's Expectations for Politics and Attitude as a Local Government Official
동양문화연구 |
11 |
2012 |
기타인문학
일본 상대문학(上代文學)에 나타난 유배(流配) 고찰 -이소노 가미노 오토마로(石上乙麻呂) 관련 한시(漢詩)・와카(和歌)를 통하여-
上代文学に見る「配流」考察 -石上乙麻呂関連漢詩・和歌からー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일본 상대문학(上代文學)에 나타난 유배(流配) 고찰 -이소노 가미노 오토마로(石上乙麻呂) 관련 한시(漢詩)・와카(和歌)를 통하여-
上代文学に見る「配流」考察 -石上乙麻呂関連漢詩・和歌からー
동아시아고대학 |
26 |
2011 |
기타인문학
‘유배’를 제재로 한 현대시의 양상 연구
A study on the Aspect of Modern Poetry with ‘Exile’ Material
한국문예비평연구 |
36 |
2011 |
한국어와문학
西齋 任徵夏의 유배체험과 그 형상화
The study of Seo-je Jing-ha, Im's exile liture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역사학연구 |
40 |
2010 |
역사학
조선시대 유배인의 현황과 문화자원의 활용-전남지역을 중심으로-
The Situation of Exiles and Making Use of Cultural Resources in Chosun Period -Focusing on Jeonam Province-
역사학연구 |
|
40 |
2010 |
역사학
유배인 김약행의 <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Daeheuksan-do in Late Chosun through an Exile Kim Yak-Haeng's Yudaeheukgi
한국민족문화 |
36 |
2010 |
기타인문학
유배인 김약행의 <遊大黑記>를 통해 본 조선후기 대흑산도
Daeheuksan-do in Late Chosun through an Exile Kim Yak-Haeng's Yudaeheukgi
한국민족문화 |
|
36 |
2010 |
기타인문학
李荇의 유배시에 나타난 정서 양상
A Study on the Emotions Shown in Lee Haeng’s Exilic Poetry
국어문학 |
50 |
50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 중기의 流配刑과 流配 生活 - 16세기 괴산과 성주의 李文楗사례를 중심으로 -
Transportation and the actual circumstances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 - based on the case of Lee Mun-geon of Goesan and Seongju in 16th century -
역사와 실학 |
44 |
2011 |
기타역사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