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배 문학

연구분야 : A020203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전기사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1712

한자 : 流配文學
영어 : exile literature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hasLocation (소재지/발생지)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제주특별자치도 [ 濟州特別自治道 ]

R1:개념적

hasProcess (과정)

 

d02-02 정치/법률제도 정치/법률제도

유배 [ 流配 ]

이신의 단가(短歌)에 대한 연구

On Dan-ga(Short Song) of Yi, Shin- eui's

우리말글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신의 단가(短歌)에 대한 연구

On Dan-ga(Short Song) of Yi, Shin- eui's

우리말글 | 50 | | 2010 | 한국어와문학

금정찰방 좌천시기를 전후한 다산의 시문학 연구 - 자정(自靖)과 자헌(自獻)의 의식을 중심으로 -

Poetic Literature of Tasan before and after the Period of Demotion to Upper Director of Geumjeong Postal Station -With Special Emphasis on Self-Comfortism and Consciousness of Dedicating Oneself.

영주어문 | 23 | 2012 | 기타국문학

服齋 奇遵의 유배기 작품에 관한 일고찰

A Consideration on Bokjae Kijun's Works During Exile Days

漢文敎育硏究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服齋 奇遵의 유배기 작품에 관한 일고찰

A Consideration on Bokjae Kijun's Works During Exile Days

漢文敎育硏究 | | 34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후기 추자도 유배인의 추이와 생활양상

The Change of Exile and Living Patterns on Chooja Island during the Period of late Chosun Dynasty

『도서문화』 | 37 | 2011 | 기타인문학

自菴 金絿의 유배 생활과 ‘憂中有樂’의 면모

The banished life of Ja-am Kim Gu & Aspect of "Joy within the Sadness"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自菴 金絿의 유배 생활과 ‘憂中有樂’의 면모

The banished life of Ja-am Kim Gu & Aspect of "Joy within the Sadness"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