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유록

연구분야 : A101000 인문학 > 문학 > 소설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A110206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현대소설(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0956

STNet ID : 1002711

한자 : 夢遊錄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교술 문학 [ 敎述文學 ]

R1:개념적

RT (관련어)

 

 

몽유 서사

RT (관련어)

 

C01 특성(성질) 특성(성질)
C01 특성(성질) / C02 심리 심리

몽환성

RT (관련어)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몽유 소설 () [ 夢遊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강도몽유록 () [ 江都夢遊錄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달천몽유록(황중윤) [ 達川夢遊錄 ]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원생몽유록 [ 元生夢遊錄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달천몽유록 () [ 達川夢遊錄 ]

『영난몽뉴록』 연구

A Study of Youngnanmongnyurok

藏書閣 | 27 | 2012 | 역사학

『영난몽뉴록』 연구

A Study of Youngnanmongnyurok

藏書閣 | 27 | 2012 | 역사학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

A study on the Hwayangbongi,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and its Chinese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

A study on the Hwayangbongi,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and its Chinese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기행체 서사와 근대소설 양식의 상관성 고찰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ravel narrative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and the type of modern novel in Korea

우리어문연구 | 43 | 2012 | 한국어와문학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

A study on the Hwayangbongi,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and its Chinese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국문 창작 가전체소설 <花王本記>와 그 한문번역본

A study on the Hwayangbongi, an Anthropomorphosized Korean Novel, and its Chinese Translation

고소설연구 |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학회지 수록 몽유 서사 연구

Study on Mong-yu Narratives in Journals of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Era in Korea

현대소설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몽유록의 공간들과 기억 - '역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선택한 작품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emories and Spaces in Mongyurok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20C초 몽유록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식

The reality recognition and confronting way through dreaming story in the 20th century

한국문학논총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