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몽유록

연구분야 : A1104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한문학 > 한문소설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18161

한자 : 江都夢遊錄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y03-01 사건명/회담명 사건명/회담명

병자호란 () [ 丙子胡亂 ]

hasSubject (주제)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선사 [ 禪師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몽유록 [ 夢遊錄 ]

병란(丙亂) 트라우마 대응 고소설의 집단서사와 현대적 재매개화 이본으로서의 <최종병기 활>

Collective Epic Narrative of Classical Novel Responding to Trauma of the Manchu War of 1636 and Contemporary Version

고전문학과 교육 | 24 | 2012 | 인문학

몽유록의 공간들과 기억 - '역사적 공간'을 배경으로 선택한 작품을 중심으로-

The Study on Memories and Spaces in Mongyurok

우리어문연구 | 41 | 2011 | 한국어와문학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and narrative of the memory -The King Injo's memory and Gangdomongyurok as the fight memory-

한국학연구 | 35 | 2010 | 기타인문학

병자호란의 책임 논쟁과 기억의 서사 -인조의 기억과 ‘대항기억’으로서의 <강도몽유록>-

The debate on the responsibility about the Manchu war of 1636 and narrative of the memory -The King Injo's memory and Gangdomongyurok as the fight memory-

한국학연구 | | 35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