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방가사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12

STNet ID : 1002716

한자 : 閨房歌辭
기타 : Gyubanggasa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y06-02 정부(왕조)명 정부(왕조)명

조선 (1392~1910) [ 朝鮮 ]

S:동의

UF (비우선어)

 

 

규중 가도 () [ 閨中歌道 ]

UF (비우선어)

 

 

내방 가사 () [ 內房歌辭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서간 문학 [ 書簡文學 ]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사 () [ 歌辭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길쌈 노동요 [ --勞動謠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현대 가사 () [ 現代歌辭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만주망명가사 [ 滿洲亡命歌辭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조애영 [ 趙愛泳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규방 소설 () [ 閨房小說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1 문헌명 문헌명

계녀가 [ 誡女歌 ]

<흥글소리>에 대한 一考 -<흥글소리>에 나타난 탄식을 통해 본 여성의 자기탐색적 태도-

A Study on Honggeulsori: focusing on self-exploratory attitude represented through lamentation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궁중 연향에서의 가사 창작과 전승 -<화조가>를 중심으로

The Gasa composing and transmission at court banquet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궁중 연향에서의 가사 창작과 전승 -<화조가>를 중심으로

The Gasa composing and transmission at court banquet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망명 가사 <간운사> 연구

A Study of , Gasa of Exile in Manchuria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만주망명 가사 <간운사> 연구

A Study of , Gasa of Exile in Manchuria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사친가>의 자료적 실상과 특징적 면모

The material condition and distinctive aspect of

韓國古典硏究 | 25 | 2012 | 고전산문

차별의 표방, 욕망의 충돌-<계녀가>류 가사를 중심으로-

A Collision of Desire for Domination and Recognition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5 | 4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생원전>의 이본 계열과 여성 독자층의 향유 의식

The Study on the Aspets and Enjoying Consciousness of the fair readers in a Different Edition of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에 나타난 여승 형상, ‘비구니 되기’와 ‘환속 권유’

The shape of buddhist nun in the classic poetry, 'becoming a buddhist nun' and 'solicitation of returning to secular life'

한민족문화연구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에 나타난 여승 형상, ‘비구니 되기’와 ‘환속 권유’

The shape of buddhist nun in the classic poetry, 'becoming a buddhist nun' and 'solicitation of returning to secular life'

한민족문화연구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 발굴 자료 한글가사 필사본 <님낭자가랴>에 대하여

The study on the new material Hangul-gasa manuscript of

열상고전연구 | 35 | 2012 | 기타국문학

새로운 가사작품 <송비산가>에 대하여

A Study on New Gasa

동양고전연구 | 44 | 2011 | 기타인문학

기녀시조와 규방가사의 恨의 표출양상 비교연구 - 개방적 표출과 폐쇄적 표출 -

The study on the comparison of the Han showed by Gisaeng Sijo and Women' quarters' lyrics - Open expression VS Closed expression -

시조학논총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싀골색씨 설은타령>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s and female speaker's self - recognition in Gyubang - Gasa on Modernizing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

한국언어문학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전환기 규방가사 <시골여자 슬픈사연>의 성격과 여성화자의 자아인식 - <싀골색씨 설은타령>과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The characters and female speaker's self - recognition in Gyubang - Gasa on Modernizing Period - focu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

한국언어문학 | | 72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사 작품 <유향가>의 발굴과 담론 내용

A study on the excavation and discourse of

동양고전연구 | 47 | 2012 | 기타인문학

은촌 조애영 가사의 문체와 여성의식

A Study on the literary style and women consciousness of Eunchon Jo-eyoung gasa's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 22 | 2011 | 한국어와문학

새로운 가사 작품 <감별곡>에 대하여

Regarding , the new Gasa work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새로운 가사 작품 <감별곡>에 대하여

Regarding , the new Gasa work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방가사에 나타난 가사노동의 의미와 ‘일상성’의 문제

A Study on Ordinariness of Women through Kyubanggasas -focusing on various meaning of house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2010 | 한국어와문학

규방가사에 나타난 가사노동의 의미와 ‘일상성’의 문제

A Study on Ordinariness of Women through Kyubanggasas -focusing on various meaning of houseworks-

한국시가연구 | 29 |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