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쌈 노동요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음악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2538

한자 : --勞動謠
영어 : weaving song

e01-02 음악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Era (시대)

 

x02-01 시대 시대

조선시대 () [ 朝鮮時代 ]

S:동의

UF (비우선어)

 

 

길쌈요

UF (비우선어)

 

 

길쌈노래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규방가사 () [ 閨房歌辭 ]

isKindOf (상위 유형)

 

e01-02 음악장르 음악장르

노동요 [ 勞動謠 ]

N1:종류

hasKind (종류)

 

 

기직노동요

hasKind (종류)

 

 

제사노동요

hasKind (종류)

 

 

채취노동요

R2:기능적

isProducedBy (생산/제작의 주체)

 

 

부녀자 [ 婦女子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삼삼기 노래

hasInstance (사례)

 

 

베틀노래

hasInstance (사례)

 

 

물레노래

한국 서사민요에 나타난 지역문학의 창의와 융합 연구 - 강원 지역을 중심으로

Study on Creation and Combination of Local Literature in Korean Folk Ballads: Focused on Gangwon District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 16 | 3 | 2012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