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행 가사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A110299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기타국문학

클래스 : 문학장르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028

STNet ID : 1002723

한자 : 紀行歌辭
기타 : Travel Gasa

e01-01 문학장르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가사 () [ 歌辭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관유 가사 () [ 觀遊歌辭 ]

hasKind (종류)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세계기행 가사 () [ 世界紀行歌辭 ]

N2:부분

hasBranch (분기/분과)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연행 가사 () [ 燕行歌辭 ]

R1:개념적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행 [ 紀行 ]

RT (관련어)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행시 () [ 紀行詩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일동장유가 () [ 日東壯遊歌 ]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관동별곡 (1580) [ 關東別曲 ]

미국 기행가사 <해유가>의 문학적 형상화 양상과 시대적 의미

The literary aspects and historic meaning of American travel Gasa

고전문학연구 | 39 | 2011 | 한국어와문학

장흥가사의 특성과 의의- 작품 현황과 연구 동향을 중심으로

The features and significances of Jang-heung Gasa - Focused on statue of work and studies in present

한국시가문화연구 | 27 | 2011 | 한국어와문학

1920년대 인쇄본 기행가사, 전통의 지속과 변용 -<동유감흥록>을 중심으로-

Printed Travel Gasa of 1920s, continuation and change of tradition -Focused on -

고전문학연구 | 41 | 2012 | 한국어와문학

정식의 <竺山別曲>과 그 문학사적 의미

Jeong-Sik's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한국시가문화연구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정식의 <竺山別曲>과 그 문학사적 의미

Jeong-Sik's and the meaning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한국시가문화연구 | | 26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유가>의 서술방식과 작가의식

The Narrative Methods and Writer's Consciousness of Dongyuga

고전문학과 교육 | 23 | 2012 | 인문학

20세기 초 외국 기행가사의 세계 인식과 문학사적 의미

A Study on the Conception of the World in TravelGaSa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우리문학연구 | 36 | 2012 | 한국어와문학

20세기 초 대일 기행가사와 東京 표상의 변모 — <유일록>, <동유감흥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GiHaengGaSa of the early 20th Century and the Transition in the Representation of Tokyo (東京): focusing on Yu Il Lok and Dong Yu Gam Hung Lok

동방학 | 24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