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동별곡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568

STNet ID : 1000122

한자 : 關東別曲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Property (특성/속성)

 

c01-02 기질/품질/형질/성향 기질/품질/형질/성향

숭고미 [ 崇高美 ]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송강가사 () [ 松江歌辭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관유 가사 () [ 觀遊歌辭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고려가요 () [ 高麗歌謠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별곡 (고전시가) [ 別曲 ]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기행 가사 () [ 紀行歌辭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협률대성 () [ 協律大成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관서별곡 [ 關西別曲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사미인곡 () [ 思美人曲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김만중 () [ 金萬重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백 (701-762) [ 李白 ]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인들 생활 속의 東海

East Sea in Korean Lives through the Ages

역사와 실학 | 45 | 2011 | 기타역사일반

역사를 통해 본 한국인들 생활 속의 東海

East Sea in Korean Lives through the Ages

역사와 실학 | 45 | 2011 | 기타역사일반

<關西別曲>의 문화지도와 국토․국경 인식

A Study on the culture map, cognition of contry and boundary in

국제어문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關西別曲>의 문화지도와 국토․국경 인식

A Study on the culture map, cognition of contry and boundary in

국제어문 | | 50 | 2010 | 한국어와문학

歌辭와 지도의 공간현상학 -<관서별곡>과 關西圖 견주어 읽기

Space Phenomenology in Travel Kasa(歌辭) and Map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with

한국문학연구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歌辭와 지도의 공간현상학 -<관서별곡>과 關西圖 견주어 읽기

Space Phenomenology in Travel Kasa(歌辭) and Map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with

한국문학연구 | | 39 | 2010 | 한국어와문학

서포 김만중의 「關東別曲」飜辭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opo Kim Man-jung's 「Kwan-dong-byeol-gok: Another Lyric for Kwandong Region(關東別曲)」 Chinese Translated Poem

어문학 | 112 | 2011 | 한국어와문학

<관동별곡>에 나타난 중세적 표현방식과 그 현대적 의미

Medieval Expression Method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in GwandongByeolgok(關東別曲)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관동별곡>에 나타난 중세적 표현방식과 그 현대적 의미

Medieval Expression Method and its Contemporary Meaning in GwandongByeolgok(關東別曲)

고전문학과 교육 | 22 | 2011 | 인문학

가사 <관동별곡>의 종착지 ‘월송정 부근’과 결말부의 의의

Destination Place in Gwandong-byeolgok and the Significance of Its Denouement

국문학연구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가사 <관동별곡>의 종착지 ‘월송정 부근’과 결말부의 의의

Destination Place in Gwandong-byeolgok and the Significance of Its Denouement

국문학연구 | | 22 | 2010 | 한국어와문학

<關東別曲>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Figuration of Gwandong-byeolgok(關東別曲) and Jeong, Cheol(鄭澈)'s Self-Consciousness as a Hermit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關東別曲>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Figuration of Gwandong-byeolgok(關東別曲) and Jeong, Cheol(鄭澈)'s Self-Consciousness as a Hermit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關東別曲>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Figuration of Gwandong-byeolgok(關東別曲) and Jeong, Cheol(鄭澈)'s Self-Consciousness as a Hermit

고전문학연구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

<關東別曲>의 형상화와 鄭澈의 신선의식

Figuration of Gwandong-byeolgok(關東別曲) and Jeong, Cheol(鄭澈)'s Self-Consciousness as a Hermit

고전문학연구 | | 3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