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미인곡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57

한자 : 思美人曲
기타 : Samiingok

y02-02 예술작품명

저작자

정철 (鄭澈)

장르/유형

가사 (歌辭)

저작년_t

1588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송강가사 () [ 松江歌辭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배 가사 () [ 流配歌辭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미인별곡 [ 美人別曲 ]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속사미인곡 [ 續思美人曲 ]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별사미인곡 [ 別思美人曲 ]

affects (영향)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속미인곡 () [ 續美人曲 ]

RT (관련어)

 

 

사미인 [ 思美人 ]

RT (관련어)

 

 

송강집 [ 松江集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관동별곡 (1580) [ 關東別曲 ]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속미인곡>의 화자 분석과 작품 해석

A New Analysis of the Speakers and Meaning of Sokmiingok(續美人曲)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창작 기법 고찰

Study of Creation Techniques of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兩美人曲에 投影된 杜甫의 詩

The adaptation of Doobo’s poetry into Yangmiing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代人戱別梧陰>와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m and Gasa, both written by Songgang -focused on Daeinheebyuloheum and Samiingok-

漢文學報 | 23 | 2010 | 한문학

송강 한시와 가사의 비교 연구 -<代人戱別梧陰>와 <思美人曲>을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between Chinese poem and Gasa, both written by Songgang -focused on Daeinheebyuloheum and Samiingok-

漢文學報 | 23 | | 2010 | 한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