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미인곡

연구분야 :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7060

STNet ID : 1001134

한자 : 續美人曲
영어 : Sokmiingok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hasSynonym (동의어)

 

 

전후미인곡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유배 가사 () [ 流配歌辭 ]

R1:개념적

isAffectedBy (영향요인)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사미인곡 () [ 思美人曲 ]

曺偉의 『萬憤歌』와 鄭澈의 兩美人曲에 나타난 戀君意識의 樣相 考察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Sense of Yeongun and the Meaning of Jo wi's Manbunga and Jeong Cheol's YangmiIngok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曺偉의 『萬憤歌』와 鄭澈의 兩美人曲에 나타난 戀君意識의 樣相 考察

A Study on the Aspect of the Sense of Yeongun and the Meaning of Jo wi's Manbunga and Jeong Cheol's YangmiIngok

어문연구(語文硏究) | 38 | 3 | 2010 | 한국어와문학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別思美人曲과 續思美人曲에 나타난 戀君意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nse of Yeongun of ByeolSamiingok and Soksamiingok

우리말글 | 48 | 2010 | 한국어와문학

別思美人曲과 續思美人曲에 나타난 戀君意識 비교 고찰

A comparative study on the sense of Yeongun of ByeolSamiingok and Soksamiingok

우리말글 | 48 | | 2010 | 한국어와문학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동양고전연구 | 41 | 2010 | 기타인문학

戀君歌辭 <自悼詞>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of Yeongungasa Jadosa and a meaning

동양고전연구 | | 41 | 2010 | 기타인문학

<속미인곡>의 창작 기법 고찰

Study of Creation Techniques of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창작 기법 고찰

Study of Creation Techniques of

한국시가문화연구 | 29 | 2012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서술 방법에 나타난 상담의 특징 고찰 -문학교육과 상담의 통섭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appeared in Description Method of -From the consilient standpoint of literary education and counseling-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

兩美人曲에 投影된 杜甫의 詩

The adaptation of Doobo’s poetry into Yangmiing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화자 분석과 작품 해석

A New Analysis of the Speakers and Meaning of Sokmiingok(續美人曲)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화자 분석과 작품 해석

A New Analysis of the Speakers and Meaning of Sokmiingok(續美人曲)

한국문학논총 | 60 | 2012 | 한국어와문학

兩美人曲에 投影된 杜甫의 詩

The adaptation of Doobo’s poetry into Yangmiingok

어문학 | 114 | 2011 | 한국어와문학

<속미인곡>의 서술 방법에 나타난 상담의 특징 고찰 -문학교육과 상담의 통섭적 관점에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unseling appeared in Description Method of -From the consilient standpoint of literary education and counseling-

고전문학과 교육 | 21 | 2011 | 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