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연극

연구분야 : G080700 예술체육 > 연극 > 동양/아시아연극

클래스 :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149

한자 : 韓國演劇
영어 : Korean play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한국의 연극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개화기 연극 [ 開化期 演劇 ]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연극 () [ 演劇 ]

N1:종류

hasKind (종류)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신극 [ 新劇 ]

R1:개념적

hasIssue (이슈/주제)

 

e01-03 미술(디자인)양식 미술(디자인)양식

한국적 조형원리 () [ 韓國的造形原理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오구(연극) [Ogu]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고래사냥 [whale hunting]

한국적 미적 범주로서의 웃음과 울음 -마당극을 중심으로

Laughter and Cry As Korean Aesthetic Category - Centering Around Madanggeuk

민족미학 | 9 | 2010 | 미학일반

한국적 미적 범주로서의 웃음과 울음 -마당극을 중심으로

Laughter and Cry As Korean Aesthetic Category - Centering Around Madanggeuk

민족미학 | 9 | | 2010 | 미학일반

일제 강점 후기 연극 제도의 변화 양상과 그 의미 - 이동극단, 위문대를 중심으로 -

Patterns and Meaning of Changes in The Institution of Theatre During Colonial Period

인문과학연구 | 30 | 2011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