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극

연구분야 : G080104 예술체육 > 연극 > 연극일반 > 연극사

클래스 : 공연예술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4496

한자 : 新劇
영어 : new play

e01-05 공연예술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신연극 [ 新演劇 ]

B1:속

isKindOf (상위 유형)

 

e01-05 공연예술 공연예술

한국 연극 [ 韓國演劇 ]

R1:개념적

RT (관련어)

대응어

 

구극 [ 舊劇 ]

R5:물리적

hasForm (형태/외형)

 

E01 유형/양식/장르 유형/양식/장르

신극양식 [ 新劇 洋式 ]

N3:사례

hasInstance (사례)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은세계 [ 銀世界 ]

연극개량의 전개와 극장적 공공성의 변동

The Transformation of the Theatrical Publicit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heatrical Reformation in the late of 1900’s-

현대문학의 연구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연극개량의 전개와 극장적 공공성의 변동

The Transformation of the Theatrical Publicity -with the Development of the Theatrical Reformation in the late of 1900’s-

현대문학의 연구 | | 42 | 2010 | 한국어와문학

근대적 예술관으로서의 한국연극미학의 형성 —‘연극예술’과 ‘실재(현실)’의 관계를 중심으로—

The formation of Korean modern theatre aesthetics as modern views of the art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atre art' and 'reality’

드라마 연구 | 34 | 2011 | 연극이론

일제 말 극단 현대극장의 국민연극 실천과 신극(新劇)의 딜레마

The ‘Gukmin-yeonguk' of The Theatre Hyundae-gukjang And The Josoen Modern Drama's Dilemma

어문학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

일제 말 극단 현대극장의 국민연극 실천과 신극(新劇)의 딜레마

The ‘Gukmin-yeonguk' of The Theatre Hyundae-gukjang And The Josoen Modern Drama's Dilemma

어문학 | | 107 | 2010 | 한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