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우야담

연구분야 : A110202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산문

클래스 : 문헌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422

한자 : 於于野譚

y02-01 문헌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y02-01 문헌명 문헌명

일사유사 [ 逸士遺事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설화집 () [ 說話集 ]

R1:개념적

affects (영향)

 

y02-06 문서(보고서)명 문서(보고서)명

어우집 [ 於于集 ]

한․중 서사의 교류와 구비전승의 역할

Intercourse of Narrative between Joseon and China on the Role of Oral Tradition

국어국문학 | 1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야담집에서의 이경류 이야기의 전개와 그 의미

The Unfolding and its Meaning of Lee Kyungryu Stories in Yadam Anthologies

한국문학논총 | 61 | 2012 | 한국어와문학

중국 서사의 전파와 조선적 수용의 가능성

The propagation of Chinese narrative literature to Joseon and the possibility of “Joseon style accommodation process”

민족문학사연구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Between Pilgi and Yadam: Narratives in Eou yadam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

『어우야담』의 서사방식과 초기 야담집으로서의 특성

Between Pilgi and Yadam: Narratives in Eou yadam

한국학 | 33 | 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