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윤식

연구분야 : A020204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조선후기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1608

STNet ID : 9003669

한자 : 金允植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순경 [ 洵卿 ]

UF (비우선어)

 

운양 [ 雲養 ]

B2:전체

isMemberOf (소속 집단/조직체)

 

a02-01 행정/공공기관 행정/공공기관

군국기무처 [ 軍國機務處 ]

R1:개념적

RT (관련어)

 

y05-02 조약/협약 조약/협약

한일병합조약 (1910) [ 韓日倂合條約 ]

RT (관련어)

 

x01-03 도시/구/동명 도시/구/동명

조천 [ 朝天 ]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문학 개념 규정의 역사적 변천에 관하여

On the Historical Transition in the Definitions of Korean Literature

한국현대문학연구 | | 30 | 2010 | 한국어와문학

시문학파의 문학사적 의미망과 정지용

Meaning of Simunhakpa in the Literary History and Jeong, Ji-yong ― Focusing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ark, Yong-cheol and Kim, Young-rang

한국시학연구 | 34 | 2012 | 한국어와문학

임화의 ‘이식문화론’에 나타난 탈식민성 - 호미 바바의 ‘혼종성’ 담론을 중심으로

국어문학 | 53 | 53 | 2012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문학사』의 서술 방법론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f Methodology in Description of the New Literary History and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한국문화연구 | 20 | 2011 | 기타인문학

『신문학사』와 『한국 문학사』의 동일성 소고 -문학사 방법론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identity of Im Hwa and Kim Yoon-shik․ Kim Hyun's 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상허학보 | 28 | 2010 | 한국어와문학

『신문학사』와 『한국 문학사』의 동일성 소고 -문학사 방법론과 언어 의식을 중심으로-

A study on a identity of Im Hwa and Kim Yoon-shik․ Kim Hyun's tex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상허학보 | 28 | | 2010 | 한국어와문학

운양(雲養) 김윤식(金允植)의 사행시를 통해 본 인식 변화 -「석진우역집(析津于役集)」과 「동사만음(東槎謾吟)」을 중심으로-

Woonyang Kim Yunsik's perception change-focus on Sukjinwooyeok Collection and Dongsamaneum

영주어문 | 21 | 2011 | 기타국문학

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 김윤식·김택영·박은식의 경우

Traditional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n a decaying country: Kim Yun-shik, Kim Taek-young, and Park Eun-shik

한국문화 | 52 | 2010 | 기타인문학

전통적 지식인의 망국 인식 : 김윤식·김택영·박은식의 경우

Traditional intellectuals’ understanding on a decaying country: Kim Yun-shik, Kim Taek-young, and Park Eun-shik

한국문화 | | 52 | 2010 | 기타인문학

3.1운동기 김윤식․이용직의 독립청원서 연구

Study on the petition of independence during the First March movement

사림 | 38 | 2011 | 역사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