鄭琦의 삶과 傳 문학
Life of Jeong Gi and Jeon[傳] Literature
고전과 해석 |
10 |
2011 |
국문학사
淸陰 金尙憲 碑誌文 小考
A Study on Bijimun(碑誌文) of Cheongeum(淸陰) Kimsangheon(金尙憲)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淸陰 金尙憲 碑誌文 小考
A Study on Bijimun(碑誌文) of Cheongeum(淸陰) Kimsangheon(金尙憲)
동방한문학 |
46 |
2011 |
한국어와문학
明齋 尹拯의 禮學사상 - 務實과 禮訟觀을 중심으로 -
Ritual Thought of Yun Jeung - Focused on Musil(務實) and Yesong(禮訟) -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明齋 尹拯의 禮學사상 - 務實과 禮訟觀을 중심으로 -
Ritual Thought of Yun Jeung - Focused on Musil(務實) and Yesong(禮訟) -
민족문화 |
37 |
37 |
2011 |
기타인문학
北渚 金鎏의 인물과 경세관
A Study on harmony between fundamental principles and current affairs of Kim Ryu as a statesman
한국인물사연구 |
18 |
2012 |
역사학
栗谷과 重峰의 道學精神
Yulgok’s and Jungbong’s Learning of the Way
유학연구 |
26 |
2012 |
철학
陶隱 李崇仁의 유학사상과 節義 실천
Doeun Lee Sungin's Confucian Thought and Practice of Fidelity to His Principle
민족문화논총 |
50 |
2012 |
기타인문학
정조의 인물인식 - 『해동신감』을 중심으로 -
King Jeongjo's a Perceptions of figures revealed in 『Haedongshingam』
한국실학연구 |
23 |
2012 |
역사학
이순신 지휘통솔의 배경과 실천적 특징
Practical Characteristics of General Lee's Command and Leadership
군사 |
80 |
2011 |
역사학
조선후기 嫁母・出母 담론과 그 예학적 성격
Ritual Approach to Discussion about Remarried Mother(嫁母) and Divorced Mother(出母) in late of Chosun Dynasty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艮齋 田愚의 ‘書簡文’에 나타난 義理精神과 抗日意識 考察
Study of Uiri Spirit and Anti-japan Mind in Gan-jae Jeon-woo ‘Seoganmoon’
동방한문학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艮齋 田愚의 ‘書簡文’에 나타난 義理精神과 抗日意識 考察
Study of Uiri Spirit and Anti-japan Mind in Gan-jae Jeon-woo ‘Seoganmoon’
동방한문학 |
|
43 |
2010 |
한국어와문학
鄭介淸의 학풍과 節義의 함의
鄭介淸的學風和節義之含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40 |
2010 |
유교학
鄭介淸의 학풍과 節義의 함의
鄭介淸的學風和節義之含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
40 |
2010 |
유교학
조선후기 嫁母・出母 담론과 그 예학적 성격
Ritual Approach to Discussion about Remarried Mother(嫁母) and Divorced Mother(出母) in late of Chosun Dynasty
퇴계학보 |
131 |
2012 |
유교학
鄭介淸의 학풍과 節義의 함의
鄭介淸的學風和節義之含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40 |
2010 |
유교학
鄭介淸의 학풍과 節義의 함의
鄭介淸的學風和節義之含義
유교사상문화연구 |
|
40 |
2010 |
유교학
강상효녀담의 창작의식과 소설로의 수용
The creative thinking of GangSang filial daughter's story and receptive capacity as a novel
고소설연구 |
33 |
2012 |
한국어와문학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An Idea on the Modern Conversion of Confucian Ethic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沙溪 金長生의 {大學} 이해 - {大學辨疑}를 중심으로-
Kim Jangsaeng's Apprehension of Daxue - centering around Question&Distinction of Daxue
동양고전연구 |
45 |
2011 |
기타인문학
胡瑗의 『周易口義』가 伊川 『易傳』에 준 영향
The Influences of HuYuan’s ZhouYiKouYi upon YiChuan’s YiZhuan
韓國史學史學報 |
25 |
2012 |
역사학
中·韓 訟事小說의 女性形象 比較 硏究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조선전기 전주지역 向義的 歷史意識 啓導와 節義精神 一攷— 檜軒 柳義孫과 遺逸齋 柳坋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yangeuijek(向義的)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oral-philosophy of scholars acting on Junju area at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Lyueuison(柳義孫) and Lyuboon(柳坋)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조선전기 전주지역 向義的 歷史意識 啓導와 節義精神 一攷— 檜軒 柳義孫과 遺逸齋 柳坋을 중심으로 —
A study on Hyangeuijek(向義的) historical consciousness and moral-philosophy of scholars acting on Junju area at the early days of the Joseon Dynasty - focusing on Lyueuison(柳義孫) and Lyuboon(柳坋)
한국사상과 문화 |
58 |
2011 |
한국어와문학
中·韓 訟事小說의 女性形象 比較 硏究
Journal of korean Culture |
19 |
2012 |
현대시(국문학)
유학 윤리사상의 현대적 변환에 대한 한 구상
An Idea on the Modern Conversion of Confucian Ethics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尤庵 宋時烈 碑誌의 撰作 性向 考察
A Study about Editing and Writing Characteristics of Wuam Song Siyol's Epitaphs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牛溪 成渾의 도학사상
The moral philosophy of u-gye(牛溪), Seong-Hon's(成渾)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東方傳統文化思想與虛, 思, 想的理致硏究
A Study on the Oriental Thought of Traditional Culture and its Implications on Emptiness (虛), Thought (思), and Thinking (想)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牛溪 成渾의 도학사상
The moral philosophy of u-gye(牛溪), Seong-Hon's(成渾)
한국사상과 문화 |
60 |
2011 |
한국어와문학
朱子易學評議
동양철학 |
37 |
2012 |
철학
艮齋 田愚의 記文 硏究
A study on GanJae JeonU's GiMun
동방한문학 |
51 |
2012 |
한국어와문학
다산 정약용의 탈성리학적 실학의 대성
The great achievement of Jeong yakyong's Silhak as post-neoconfucian concepts
孔子學 |
22 |
2012 |
기타유교학
중국기업의 사회적 책임활동과 儒家적 기업윤리
中国企业的社会责任和儒家商业伦理
외국학연구 |
17 |
2011 |
기타인문학
朱子의 卜筮易學에 대한 硏究
Study of Zhu Xi's Bushi in the Book of Changes
동서철학연구 |
62 |
2011 |
철학
正祖의 古文 指向과 御定 《唐宋八子百選》
A Study on the King Jeong Jo's Viewpoint on Classical Prose and 《One Hundred Proses Written by Eight Great Writers (八子百選)》
중국문학 |
67 |
2011 |
중국어와문학
박제가의 직업사상 − 이익을 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
The Occupation Thoughts of Bak Je-Ga
한국사상과 문화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박제가의 직업사상 − 이익을 보는 관점을 중심으로 −
The Occupation Thoughts of Bak Je-Ga
한국사상과 문화 |
|
55 |
2010 |
한국어와문학
Korean Men’s Relationality: Implications for Pastoral Theology and Care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
22 |
2011 |
목회상담학
조선시대 詩人과 詩精神 - 15,16세기 영남 사림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ry and spiritual sphere of Chosen Dynasty's poets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石川 金覺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Seokcheon KimGak'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조선시대 詩人과 詩精神 - 15,16세기 영남 사림파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oetry and spiritual sphere of Chosen Dynasty's poets
한국사상과 문화 |
59 |
2011 |
한국어와문학
石川 金覺의 시에 나타난 정신세계
A Study on the spiritual sphere in Seokcheon KimGak's poetry
한국사상과 문화 |
63 |
2012 |
한국어와문학
우암 의리학의 율곡 淵源과 後援 - 石潭과 石室
Two Sources Of Songsiyeol's Righteousness Philosophy - Seokdam And Seoksil
율곡학연구 |
21 |
2010 |
기타인문학
우암 의리학의 율곡 淵源과 後援 - 石潭과 石室
Two Sources Of Songsiyeol's Righteousness Philosophy - Seokdam And Seoksil
율곡학연구 |
21 |
|
2010 |
기타인문학
우암 송시열의 의리적 예론
Song Siyeol's righteousness centered arguments on the ritual
율곡학연구 |
22 |
2011 |
기타인문학
한국의 義理思想에 대한 접근법
A New Approach towards Korean Thought of Loyalty
한국철학논집 |
33 |
2012 |
한국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