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체

연구분야 : A030100 인문학 > 철학 > 철학일반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856

STNet ID : 1002853

한자 : 實體
그리스어 : ousia
영어 : substance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유기체 철학 () [ 有機體哲學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단자 [ 單子 ]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d01-04 개념(정의) 개념(정의)
d01-04 개념(정의) / X03 관계/상호작용 관계/상호작용

본체 [ 本體 ]

아리스토텔레스는 플라톤의자 연철학에서 무엇을 배웠나?- 물질의 기본 단위로서 4요소 이론의 경우 -

What Plato learns from Aristotle's Natural Philosophy? - In the Case of the Theory of four Elements -

동서철학연구 | 64 | 2012 | 철학

21세기 조직화의 새로운 패러다임 - 화이트헤드와 들뢰즈의 과정 철학과 카오스모스 -

The New Paradigm of Organizing in 21th Century - Mainly on the Process Philosophy and Chaosmos on Whitehead and Deleuze -

철학논총 | 65 | 3 | 2011 | 철학

해방직후 초창기 좌익 비평에 드러난 파시즘 극복 방향의 의미

Implications of Conquest Course against Fascism Presented the Left Commentators's Critiques in the Beginning of the Liberation Era

한국문예비평연구 | 37 | 2012 | 한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 부사 “都”의 의미기능에 대한 인지적 접근

중국언어연구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현대중국어 부사 “都”의 의미기능에 대한 인지적 접근

중국언어연구 | | 32 | 2010 | 중국어와문학

둔스 스코투스와 데카르트의 철학적 연관성에 대한 고찰 -개체화 원리 문제를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the Philosophical Link between Duns Scotus and Descartes: the point of view the problem of the principle of individuation

철학사상 | 42 | 2011 | 철학

헤겔의 ‘절대정신’ 구상에 관한 아펠의 담론이론적 대응의 철학적 의미

Philosphische Bedeutung von Apels diskurstheoretischer Entsprechung zu Hegels Entwurf des ‘absoluten Geist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헤겔의 ‘절대정신’ 구상에 관한 아펠의 담론이론적 대응의 철학적 의미

Philosphische Bedeutung von Apels diskurstheoretischer Entsprechung zu Hegels Entwurf des ‘absoluten Geistes’

철학논총 | 62 | 4 | 2010 | 철학

『순수이성비판』에서 「관념성의 오류추리 비판」과 「관념론 반박』 간의 정합적 해석

The Coherent interpretation between "Critique of Paralogism of Ideality" and "Refutation of Idealism"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철학논집 | 21 | 2010 | 철학

『순수이성비판』에서 「관념성의 오류추리 비판」과 「관념론 반박』 간의 정합적 해석

The Coherent interpretation between "Critique of Paralogism of Ideality" and "Refutation of Idealism" in the Critique of Pure Reason

철학논집 | 21 | | 2010 | 철학

불교의 연기론적 생명관과 복잡계 이론 - 실체에서 관계로, 관계에서 생성으로 -

仏教の縁起論的生命観と複雑係理論 - 実体から関係に, 関係から生成に -

동아시아불교문화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불교의 연기론적 생명관과 복잡계 이론 - 실체에서 관계로, 관계에서 생성으로 -

仏教の縁起論的生命観と複雑係理論 - 実体から関係に, 関係から生成に -

동아시아불교문화 | | 6 | 2010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戰國時代 燕나라 燕北長城 동쪽 구간의 構造的 實體와 東端

The structural make-up and eastern terminus of the eastern section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Yen northern great wall

선사와 고대 | 33 | 2010 | 역사학

戰國時代 燕나라 燕北長城 동쪽 구간의 構造的 實體와 東端

The structural make-up and eastern terminus of the eastern section of the Warring States period Yen northern great wall

선사와 고대 | | 33 | 2010 | 역사학

헤겔 철학 체계에서 우연성과 주체구성의 관계 - 지젝의 헤겔 철학 독해를 중심으로 -

A Relation of Contingency to Subject-formation in the Hegel’s Philosophical System - Concerning Žižek’s Hegel Reading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헤겔 철학 체계에서 우연성과 주체구성의 관계 - 지젝의 헤겔 철학 독해를 중심으로 -

A Relation of Contingency to Subject-formation in the Hegel’s Philosophical System - Concerning Žižek’s Hegel Reading

범한철학 | 58 | 3 | 2010 | 철학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The Problem of Descartes' Substance Concept and the Solution of Rationalists in Coming Generations

철학논집 | 20 | 2010 | 철학

데카르트 실체 개념의 문제점과 후대 합리론자들의 해결방안

The Problem of Descartes' Substance Concept and the Solution of Rationalists in Coming Generations

철학논집 | 20 | | 2010 | 철학

원융무애와 불교 다문화: 대승불교의 입장에서

圓融無碍と仏教の多文化: 大乗仏教の立場で

동아시아불교문화 | 10 | 2012 | 지역불교및불교사연구

Tasan Chŏng’s and Leibniz’s Concept of God Viewed in the Light of Neo-Confucian Tradition

정다산과 라이프니츠의 신개념에 대한 신유학적 조명

다산학 | 16 | 2010 | 인문학

Tasan Chŏng’s and Leibniz’s Concept of God Viewed in the Light of Neo-Confucian Tradition

정다산과 라이프니츠의 신개념에 대한 신유학적 조명

다산학 | | 16 | 2010 | 인문학

Ontological Foundation of Aristotle’s Law of Contradiction in Metaphysics IV 1005a 19 - 1005b 19

서양고전학연구 | 40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Ontological Foundation of Aristotle’s Law of Contradiction in Metaphysics IV 1005a 19 - 1005b 19

서양고전학연구 | | 40 | 2010 | 서양고전어와문학

바르뜨리하리의 자띠사뭇데샤

‘Jāti-samuddeśa’ of Bhartṛhari

남아시아연구 | 18 | 1 | 2012 | 지역학

속성의 공유불가능성 정리에 대한 라이프니쯔의 비판은 타당한가?

Is Leibniz's argument against the No Shared Attribute Proposition justifiable?

철학논집 | 22 | 2010 | 철학

속성의 공유불가능성 정리에 대한 라이프니쯔의 비판은 타당한가?

Is Leibniz's argument against the No Shared Attribute Proposition justifiable?

철학논집 | 22 | | 2010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론 ㅡ <형이상학> VII권 13장과 <범주론>의 이론과 그 현재성 ㅡ

Aristoteles’ Lehre vom Allgemeinen in Met. VII 13 und in der Kategorienschrift

헤겔연구 | 28 | 2010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론 ㅡ <형이상학> VII권 13장과 <범주론>의 이론과 그 현재성 ㅡ

Aristoteles’ Lehre vom Allgemeinen in Met. VII 13 und in der Kategorienschrift

헤겔연구 | | 28 | 2010 | 철학

라이프니츠의 실체형이상학에서 물질세계의 의미와 위상

Die Bedeutung und der Stellenwert der physikalischen Welt in der Substanzmetaphysik

철학탐구 | 31 | 2012 | 철학

존재와 인식의 딜레마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M권 10장의 결론을 중심으로 ―

Aristotle on the Dilemma of Being and Knowing - focused on Metaphysics M,10 -

철학 | 102 | 2010 | 철학

존재와 인식의 딜레마 ― 아리스토텔레스의 [형이상학] M권 10장의 결론을 중심으로 ―

Aristotle on the Dilemma of Being and Knowing - focused on Metaphysics M,10 -

철학 | | 102 | 2010 | 철학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The Mirage of 'Jonjaeron' ― Is 'being' a meaningful philosophical question for us too?

대동철학 | 52 | 2010 | 철학

‘존재론’의 신기루 ― ‘존재’가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철학적 문제인가?

The Mirage of 'Jonjaeron' ― Is 'being' a meaningful philosophical question for us too?

대동철학 | | 52 | 2010 | 철학

아리스토텔레스의 보편자 이해와 개별주의 실체관: 『형이상학』 Z 13을 중심으로

Aristotle’s Understanding of the Universal and His Individualist View of Substance in the Metaphysics Z 13

철학사상 | 39 | 2011 | 철학

헤겔철학에서 반성과 형이상학

Reflexion und Metaphysik in Hegels Philosophie

헤겔연구 | 27 | 2010 | 철학

헤겔철학에서 반성과 형이상학

Reflexion und Metaphysik in Hegels Philosophie

헤겔연구 | | 27 | 2010 | 철학

‘날이미지시’에서의 환유 양상 - 들뢰즈의 표현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tonymy of Raw Image Poetry

인문과학연구 | 26 | 2010 | 기타인문학

‘날이미지시’에서의 환유 양상 - 들뢰즈의 표현 개념을 중심으로

A Study on Metonymy of Raw Image Poetry

인문과학연구 | | 26 | 2010 | 기타인문학

바르뜨리하리의 구나사뭇데샤

‘Guṇa-samuddeśa’ of Bhartṛhari

남아시아연구 | 17 | 2 | 2011 | 지역학

화이트헤드 철학과 조직이론의 만남 - 실체철학을 넘어서 -

How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 theory?

화이트헤드 연구 | 20 | 2010 | 서양철학일반

화이트헤드 철학과 조직이론의 만남 - 실체철학을 넘어서 -

How Whitehead's process philosophy can contribute to organization theory?

화이트헤드 연구 | | 20 | 2010 | 서양철학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