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부지

연구분야 : A030303 인문학 > 철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A020304 인문학 > 역사학 > 동양사 > 중국근세사(명청)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894

STNet ID : 1002858

한자 : 王夫之
영어 : Wang Fuzi
호(號) : 강재(薑齋)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왕선산 [ 王船山 ]

UF (비우선어)

 

 

이농 [ 而農 ]

R1:개념적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담사동 [ 譚嗣同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증국번 [ 曾國蕃 ]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61 | 2010 | 철학

주희와 왕부지의 욕망관 분석 - 『논어집주』와 『독논어대전설』의 내용을 중심으로

朱熹与王夫之的欲望观分析–以≪论语集注≫与≪读论语大传说≫的内容为中心

동양철학연구 | | 61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논어』에 나타난 ‘권도(權道)’의 논리 구조와 의미 -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심으로-

『論語』里出現的“權道”之邏輯結構和意義 -以朱熹和王夫之的觀點為中心-

시대와 철학 | 21 | 3 | 2010 | 철학

하이데거의 철학 방법으로 해석한 도가 철학사상의 존재 –노자, 장자와 왕부지를 중심으로–

从海德格尔哲学方法看道家哲学思想的存在 -以老子、庄子和王夫之为中心-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하이데거의 철학 방법으로 해석한 도가 철학사상의 존재 –노자, 장자와 왕부지를 중심으로–

从海德格尔哲学方法看道家哲学思想的存在 -以老子、庄子和王夫之为中心-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하이데거의 철학 방법으로 해석한 도가 철학사상의 존재 –노자, 장자와 왕부지를 중심으로–

从海德格尔哲学方法看道家哲学思想的存在 -以老子、庄子和王夫之为中心-

도교문화연구 | 32 | 2010 | 종교학

하이데거의 철학 방법으로 해석한 도가 철학사상의 존재 –노자, 장자와 왕부지를 중심으로–

从海德格尔哲学方法看道家哲学思想的存在 -以老子、庄子和王夫之为中心-

도교문화연구 | | 32 | 2010 | 종교학

王夫之의 <惜餘鬒賦> 考釋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n Wang Fu Zhi's Xiyuzhenfu

중국어문논총 | 51 | 2011 | 중국어와문학

前後七子漢魏古詩論和王夫之興觀群怨論的共通性

Commonness between the Admiration of Han Wei Ancient Type Poetry of Earlier & Later Seven Masters and Wang Fu-zhi's Insistence of Interest, Contemplate, Membership-hard-making, and Resentment

중국어문논총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前後七子漢魏古詩論和王夫之興觀群怨論的共通性

Commonness between the Admiration of Han Wei Ancient Type Poetry of Earlier & Later Seven Masters and Wang Fu-zhi's Insistence of Interest, Contemplate, Membership-hard-making, and Resentment

중국어문논총 |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왕부지 方法論 管窺

王夫之 方法論 管窺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王夫之의 『大學』觀 — ‘大學之道’⋅‘明德’⋅‘心’을 중심으로 —

王夫之的『大學』觀 - 以‘大學之道’・‘明德’・‘心’為中心

동양철학연구 | 63 | 2010 | 철학

王夫之의 『大學』觀 — ‘大學之道’⋅‘明德’⋅‘心’을 중심으로 —

王夫之的『大學』觀 - 以‘大學之道’・‘明德’・‘心’為中心

동양철학연구 | | 63 | 2010 | 철학

王夫之의 <中庸> 理解

王夫之對 <中庸>的理解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王夫之의 格物致知 理解 — <讀四書大全說>과 <張子正蒙注>를 중심으로 —

王夫之對格物致知的理解 – 以<讀四書大全說>與<張子正蒙注>爲主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王夫之对《乾》卦时位的阐释 ——以《周易外传》为中心

Wang Fuzhi’s Explain on Time and Place in Qian Divanation ——Focusing on His Zhouyi Waizhuan

Journal of Confucian Philosophy and Culture | 15 | 2011 | 유교학

왕부지의『 대학』 이해 - 주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Wang Fuzhi's understanding of Dàxué(『大學』) - A Comparison with Zhū Xī's -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왕부지의『 대학』 이해 - 주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

Wang Fuzhi's understanding of Dàxué(『大學』) - A Comparison with Zhū Xī's -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王夫之『 ?倣符命⋅绎思?』에 대한 考釋

The Translation and Annotation On Wang Fu-zhi’s Fang-Fu-Ming(倣符命)⋅Yi- Si(绎思)

중국학보 | 65 | 2012 | 중국어와문학

王夫之 『連珠二十八首』의 明朝에 대한 志操⋅忠貞사상과 反淸의식 고찰

A Study on Principle and Belief, Loyalty and Steadfastness to the Ming-dynasty And Disobedience to the Qing-dynasty in Wang Fu-zhi’s Twenty eight pieces of Lian Zhou

중국학보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王夫之 『連珠二十八首』의 明朝에 대한 志操⋅忠貞사상과 反淸의식 고찰

A Study on Principle and Belief, Loyalty and Steadfastness to the Ming-dynasty And Disobedience to the Qing-dynasty in Wang Fu-zhi’s Twenty eight pieces of Lian Zhou

중국학보 | | 62 | 2010 | 중국어와문학

王夫之 ≪薑齋文集≫의 論三首에 대한 詮釋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ree Pieces of Argumentation(Lun) in Wang Fu-zhi's JiangZhaiWenJi

중국어문논총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王夫之 ≪薑齋文集≫의 論三首에 대한 詮釋

Translation and Annotation of Three Pieces of Argumentation(Lun) in Wang Fu-zhi's JiangZhaiWenJi

중국어문논총 | | 47 | 2010 | 중국어와문학

王夫之 易學思想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Wang Fu-zhi's Thought of the Book of Changes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

王夫之 易學思想의 특징

Characteristics of Wang Fu-zhi's Thought of the Book of Changes

유교사상문화연구 | 49 | 2012 | 유교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17-18世紀 韓⋅中⋅日 儒學에서의 人間理解 硏究 — 王夫之⋅丁若鏞⋅伊藤仁齋를 중심으로 —

The view of human on Korean⋅Chinese⋅Japanese Confucianism in 17-18C - Focused on Wang Fu-zhi, Jeong Yak-yong, Ito Jin-sai

漢文古典硏究 | 20 | 1 | 2010 | 한국어와문학

왕부지 方法論 管窺

王夫之 方法論 管窺

철학탐구 | 30 | 2011 | 철학

兩用而一體 — 船山論心

Two acts, but one substance

국제중국학연구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

兩用而一體 — 船山論心

Two acts, but one substance

국제중국학연구 | | 13 | 2010 | 중국어와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