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언명법

연구분야 : A030405 인문학 > 철학 > 서양철학 > 서양근대독일철학

클래스 : 개념(정의)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2965

STNet ID : 1002869

한자 : 定言明法
독일어 : kategorischer Imperativ

d01-04 개념(정의)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정언적 명령

B2:전체

isComponentOf (전체-정체성유지)

 

d01-01 이론/사상 이론/사상

칸트 철학 [ --哲學 ]

R1:개념적

isIssueIn (이슈/주제의 대상개념)

 

y02-01 문헌명 문헌명

실천이성비판 () [ 實踐理性批判 ]

게임과 협상의 자본주의 도덕 형성 원리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가 의무론적 윤리주의를 넘어서는 방식-

A Principle of Capitalism Moral Formation in Game and Negotiation -The Way that My wife got married by Park, Hyun-Ook gets over the Deontological Ethics-

현대소설연구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게임과 협상의 자본주의 도덕 형성 원리 -박현욱의 ≪아내가 결혼했다≫가 의무론적 윤리주의를 넘어서는 방식-

A Principle of Capitalism Moral Formation in Game and Negotiation -The Way that My wife got married by Park, Hyun-Ook gets over the Deontological Ethics-

현대소설연구 | | 44 | 2010 | 한국어와문학

‘Yes’를 즐겨라!: 영화 <예스 맨>에 나타난 외설적 초자아와 자기계발 주체의 긍정의 양태

Enjoy ‘Yes!’: The Obscene Superego and the Mode of Affirmation of Self-Improvement Subjects in the Film Yes Man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Yes’를 즐겨라!: 영화 <예스 맨>에 나타난 외설적 초자아와 자기계발 주체의 긍정의 양태

Enjoy ‘Yes!’: The Obscene Superego and the Mode of Affirmation of Self-Improvement Subjects in the Film Yes Man

비평과이론 | 15 | 2 | 2010 | 영어와문학

법의 자기정당화의 위기-아감벤의 칸트 법개념 비판을 중심으로-

Die Krise in der Selbstrechtfertigung des Rechts-Im Hinblick auf Agamben’s Kritik an Kant’s Rechtsbegriff-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법의 자기정당화의 위기-아감벤의 칸트 법개념 비판을 중심으로-

Die Krise in der Selbstrechtfertigung des Rechts-Im Hinblick auf Agamben’s Kritik an Kant’s Rechtsbegriff-

법학논총 | 27 | 3 | 2010 | 법학

유가의 도덕원리와 칸트

Confucian Moral Principles and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한국철학논집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유가의 도덕원리와 칸트

Confucian Moral Principles and Kant's Categorical Imperative

한국철학논집 | | 29 | 2010 | 한국철학일반

칸트 도덕철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포스트휴먼

Posthuman in Kant’s Moral Philosophical Perspective

서강인문논총 | 32 | 2011 | 기타인문학

칸트의 실천이성 이론과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변형 - 칸트의 정언명법에 대한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정초를 중심으로 -

Kants Lehre von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Transformation - In der Fokussierung auf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Begründung von Kants kategorischem Imperativ -

칸트연구 | 26 | 2010 | 철학

칸트의 실천이성 이론과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변형 - 칸트의 정언명법에 대한 에벨링의 기초화용론적 정초를 중심으로 -

Kants Lehre von der praktischen Vernunft und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Transformation - In der Fokussierung auf Ebelings fundamentalpragmatische Begründung von Kants kategorischem Imperativ -

칸트연구 | | 26 | 2010 | 철학

칸트의 『도덕형이상학』에서 ‘동시에 의무인 목적’

‘An End that is at the same time a Duty’ in Kant’s Metaphysics of Morals

철학논총 | 68 | 2 | 2012 | 철학

성리학에서 ‘형식’의 문제 − 朱子 성리학을 중심으로 −

性理学中“形式”的问题

동양철학연구 | 65 | 2011 | 철학

J. 롤즈의 칸트적 해석에 대하여

About John Ralws’s Kantian Interpretation

철학논총 | 69 | 4 | 2012 | 철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