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규보

연구분야 : A110000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379

STNet ID : 1000720

한자 : 李奎報
시호(諡號) : 문순(文順)
한자 : 李奎報
기타 : Lee Gyubo
동의어(UF) : 삼혹호선생(三酷好先生)
호(號) : 백운거사(白雲居士)
호(號) : 지헌(止軒)

y01-01 실존인물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S:동의

UF (비우선어)

 

춘경 [ 春卿 ]

UF (비우선어)

초명

 

인저 [ 仁氐 ]

R1:개념적

isConceptuallyRelatedTo (개념적부분)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용사 [ 用事 ]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1 문헌명 문헌명

동국역대인물통고 [ 東國歷代人物通攷 ]

RT (관련어)

 

 

천마산시 [ 天摩山詩 ]

RT (관련어)

 

 

대장경각판군신기고문 [ 大藏經刻板君臣祈告文 ]

RT (관련어)

 

 

모정기 [ 茅亭記 ]

RT (관련어)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동명왕편 [ 東明王篇 ]

RT (관련어)

 

 

초배정언시 [ 初拜正言詩 ]

RT (관련어)

 

 

재입옥당시 [ 再入玉堂詩 ]

RT (관련어)

 

 

공작 [ 孔雀 ]

RT (관련어)

 

 

초입한림시 [ 初入翰林詩 ]

RT (관련어)

 

 

고시십팔운 [ 古詩十八韻 ]

RT (관련어)

 

 

모중서회 [ 慕中書懷 ]

RT (관련어)

친구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오세재 () [ 吳世才 ]

문답식 산문의 특징에 대한 연구 -李奎報의 문답식 산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techetical prose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뇌(誄)의 문체적 특성과 문학사에서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tyle of Lei(誄) & the aspects of Lei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뇌(誄)의 문체적 특성과 문학사에서의 양상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style of Lei(誄) & the aspects of Lei in the history of Sino-Korean literature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문답식 산문의 특징에 대한 연구 -李奎報의 문답식 산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atechetical prose

동방한문학 | 50 | 2012 | 한국어와문학

淸州 思惱寺址와 高麗後期 羅漢信仰의 展開

On the development of belief in Arhan in the late Goryo age and the temple site of Sanoi(思惱寺址)

온지논총 | 24 | 2010 | 기타인문학

淸州 思惱寺址와 高麗後期 羅漢信仰의 展開

On the development of belief in Arhan in the late Goryo age and the temple site of Sanoi(思惱寺址)

온지논총 | | 24 | 2010 | 기타인문학

고전시가 속 ‘漁父’ 모티프의 수용사적 고찰

A Study on the Motif of Fishermen in Korean Classical Poetry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고전시가 속 ‘漁父’ 모티프의 수용사적 고찰

A Study on the Motif of Fishermen in Korean Classical Poetry

고전과 해석 | 11 | 2011 | 국문학사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益齋 李齊賢의 古文倡導’에 대한 재검토

Reappraisal of Advocation for Writing Classical Style Prose asserted by Lee Je-hyun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 32 | 2010 | 한국어와문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조선건국의 정신적 기원: 14세기 주자학 수용의 내적 계기를 중심으로

The Spiritual Origin of Founding of Jeseon Dynasty: In Relation to Internal Motives of Acceptance of New Confucianism in the 14th Century

한국정치외교사논총 | 31 | 2 | 2010 | 정치외교학

高麗文人對王維的接受

중국학 | 37 | 2010 | 기타중문학

高麗文人對王維的接受

중국학 | | 37 | 2010 | 기타중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s Tradition of Expressions and Its Effects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s Tradition of Expressions and Its Effects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 - 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Poetry Fields Between Lee, Guy-Bo and Choi, Seung-Ho - In the Buddhist View of Ecological Theory

동방학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이규보와 최승호의 시세계 비교 연구 - 불교생태론적 관점을 중심으로

The Comparative Study of Poetry Fields Between Lee, Guy-Bo and Choi, Seung-Ho - In the Buddhist View of Ecological Theory

동방학 | | 18 | 2010 | 기타인문학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국인물사연구 | 13 | 2010 | 역사학

이규보의 <南行月日記>에 나타난 고대사 사료검토 -普德, 元曉, 眞表 관련 기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account of Lee GyuBo's jouney in South region(남행월일기) -especially examine about three Buddhist monk, Boduk(普德), Wonhyo(元曉), Jinpyo(眞表)-

한국인물사연구 | | 13 | 2010 | 역사학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s Tradition of Expressions and Its Effects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s Tradition of Expressions and Its Effects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s Tradition of Expressions and Its Effects

문학교육학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구시마문(驅詩魔文)>의 표현론적 전통과 그 효용

’s Tradition of Expressions and Its Effects

문학교육학 | | 33 | 2010 | 한국어와문학

이규보 茶詩를 통해 본 茶事와 茶德

Works and Virtue of Tea in Lee Gyu-Bo's Tea-poems

한국차학회지 | 18 | 3 | 2012 | 농업생산/경영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53 | 2010 | 기타인문학

李奎報 題畵詩를 통한 高麗 花鳥畫의 一考察

A Study on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of Goryeo: Focusing on Yi Gyu-bo's Poems on Paintings

민족문화연구 | | 53 | 2010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