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왕편

연구분야 : A020202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고려시대사
A110203 인문학 > 한국어와문학 > 국문학 > 고전시가

클래스 : 예술작품명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16500

한자 : 東明王篇

y02-02 예술작품명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공통속성

hasSubject (주제)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동명성왕 (BC37e-BC19e) [ 東明聖王 ]

B3:개념

isInstanceOf (사례의 개념유형)

 

e01-01 문학장르 문학장르

중세 서사시 () [ 中世敍事詩 ]

N2:부분

hasComponent (구성요소)

 

 

동국이상국집 [ 東國李相國集 ]

R1:개념적

RT (관련어)

 

y02-01 문헌명 문헌명

제왕운기 () [ 帝王韻紀 ]

RT (관련어)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이규보 () [ 李奎報 ]

廣開土王陵碑 이전의 朱蒙 神話 -策略的 영웅들의 행방-

Jumong Myth before the Stele for King Gwanggaeto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

켈트 신화와 한국 신화의 비교 연구: 영웅 쿠훌린과 주몽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Celtic Myth and Korean Myth: With Emphasis On Hero Cuchulain and Jumong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2010 | 영어와문학

켈트 신화와 한국 신화의 비교 연구: 영웅 쿠훌린과 주몽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Celtic Myth and Korean Myth: With Emphasis On Hero Cuchulain and Jumong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 2010 | 영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Literacy in (東明王篇)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 | 57 | 2010 | 한국어와문학

한국 중세 서사시의 서사 구성 방식과 장르적 특질

Narrative composition method and genre status of Korean medieval epic poem

서강인문논총 | 33 | 2012 | 기타인문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