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성왕

연구분야 : A020201 인문학 > 역사학 > 한국사 > 한국고대사

클래스 : 실존인물

DOI : https://doi.org/10.22877/skku.udct.98627

STNet ID : 1002984

한자 : 東明聖王
재위기간 : B.C.37e-B.C.19e

y01-01 실존인물

시대

고구려 시대 (高句麗)

생몰년_t

BC 37 ~ BC 19

용어관계

관련용어

유형

관계명

관계속성

클래스명

용어명

CL:클래스

CCType (개념범주type)

 

a01-06-02 인간(지위/벼슬) 인간(지위/벼슬)

왕(王) () [ 王 ]

S:동의

UF (비우선어)

 

 

고주몽 () [ 高朱蒙 ]

UF (비우선어)

 

 

동명성왕 [ 東明聖王 ]

UF (비우선어)

 

 

중해 () [ 衆解 ]

UF (비우선어)

 

 

추모 [ 鄒牟 ]

UF (비우선어)

 

 

동명왕 [ 東明王 ]

R1:개념적

isSubjectIn (주제분야의 대상)

 

y02-02 예술작품명 예술작품명

동명왕편 [ 東明王篇 ]

RT (관련어)

 

x01-05 바다/강/호수명 바다/강/호수명

비류수 () [ 沸流水 ]

RT (관련어)

 

X01 지명 지명

졸본부여 () [ 卒本扶餘 ]

RT (관련어)

 

 

해모수

R2:기능적

isFounderOf (기관/단체명)

 

x01-02 국가명 국가명

고구려 () [ 高句麗 ]

R3:시간적

precedes (후행(시대,현상))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리왕 (BC19e-18) [ 琉璃王 ]

R5:물리적

Relative_1 (친인척)

모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유화 [ 柳花 ]

Relative_2 (친인척_역)

부자

y01-01 실존인물 실존인물

온조왕 (BC18-28) [ 溫祚王 ]

고조선・부여・고구려의 역사적 계승관계 연구

A Study on Historical Inheritance Relationships of Gojoseon, Puyeo, and Goguryo

史叢(사총) | 74 | 2011 | 기타역사일반

고조선과 고구려 건국신화의 구조주의적 분석

A Study on the National Birth Myth of Old Choson and Koguryo With the Structural View

국학연구 | 18 | 2011 | 기타인문학

日韓始祖神話の性格 -「神武」と「朱蒙」の人物形象-

Character of The Japan&Korea myth

일어일문학 | 52 | 2011 | 일본어와문학

고구려 신화의 성립과 소서노 배제의 정치사회학

A Study on the Theory of Eliminating Women and that Political-sociologic Meaning in the Birth Myth of Koguryo

仙道文化 | 9 | 2010 | 기타철학일반

고구려 신화의 성립과 소서노 배제의 정치사회학

A Study on the Theory of Eliminating Women and that Political-sociologic Meaning in the Birth Myth of Koguryo

仙道文化 | 9 | | 2010 | 기타철학일반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는 ‘夫餘出自’의 의미

高句麗始祖神話所述的‘出身夫餘’之意義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는 ‘夫餘出自’의 의미

高句麗始祖神話所述的‘出身夫餘’之意義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알퍼므쉬와 주몽신화의 영웅신화적 요소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the Plot of Heroic Epic Poems in the myths of Korean Jumong and Uzbek Alpamish

중동문제연구 | 10 | 2 | 2011 | 지역학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는 ‘夫餘出自’의 의미

高句麗始祖神話所述的‘出身夫餘’之意義

동아시아고대학 | 22 | 2010 | 기타인문학

고구려 始祖神話에 나타나는 ‘夫餘出自’의 의미

高句麗始祖神話所述的‘出身夫餘’之意義

동아시아고대학 | | 22 | 2010 | 기타인문학

켈트 신화와 한국 신화의 비교 연구: 영웅 쿠훌린과 주몽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Celtic Myth and Korean Myth: With Emphasis On Hero Cuchulain and Jumong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2010 | 영어와문학

켈트 신화와 한국 신화의 비교 연구: 영웅 쿠훌린과 주몽을 중심으로

A Comparison Between Celtic Myth and Korean Myth: With Emphasis On Hero Cuchulain and Jumong

한국 예이츠 저널 | 34 | | 2010 | 영어와문학

廣開土王陵碑 이전의 朱蒙 神話 -策略的 영웅들의 행방-

Jumong Myth before the Stele for King Gwanggaeto

어문논집 | 63 | 2011 | 한국어와문학